총 36페이지

7페이지 본문시작

332
한다. 즉 문헌자료와 현지자료를 통해 볏가릿대에 대한 역사나 기원, 분포현황, 전승양상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보다는 현재 가장 널리 전승되고 있는 서산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그 인근
지역의 볏가릿대 농경의례를 비교 검토하면서 사실 그대로 기록
09)
함으로써 이 분야 연구에 대한
밑거름이 되고자 한다.
2. 서산지역 볏가릿대 신앙의 전승양상
1. 볏가릿대 신앙이란?
볏가릿대는 짚이나 헝겊 등으로 벼?보리?조?기장?수수?콩?팥 등 갖가지 곡식을 싸서
긴 장대에 매단 다음, 우물이나 마당 또는 외양간 옆에 높다랗게 세워 놓고 풍요를 기원하는 상징
물로 지역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세우는 날짜에 있어서도 당진 기지시리와
같이 음력으로 정월 열 나흗날 볏가릿대를 세우기도 하나 서산지역에서는 대개 정월 보름날 볏가
릿대를 세워 이월 초하룻날 볏가리 고사를 지낸 다음, 볏가릿대를 눕힌다. 명칭에 있어서도 지역에
따라 볏가릿대?볏가리?노적가리?볏가리 장대(충청도, 전라도), 낟가릿대?유지기?유지지 ?
주저리?유두새?노적?봉오리?오조지?농사장원기(전라도) 등으로 불리며, 한자어로는 화간
( 竿)? 화적(
)?도간( 竿)이라고도 부른다. 그러나 현재 서산지역에서는 대개
‘볏가릿대’
라 불리고 있으나 인근지역의 경우
‘노적가리’
라고도 불리고 있으며, 전라도 지역의 경우에는
‘유지기’
‘농사장원기’
‘낟가릿대’
란 명칭으로 통용되고 있다.
09) 필자는 2001년과 2002년 2년여에 걸쳐 음력 1월 15일(정월대보름) 및 음력 2월 1일(머슴날)을 기해 내포지역인 충남 서산?
당진?태안 지역에서 볏가릿대 세우기 및 볏가릿대 내리기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2001년도에는 서산시 인지면
차리 1구 볏가릿대(참여조사), 서산시 인지면 야당리 볏가릿대(구술조사), 서산시 대산면 운산 5리 볏가릿대(참여조사), 당진
군 송악면 기지시리 볏가릿대(참여조사), 당진군 당진읍 구룡리 볏가릿대(참여조사) 등 5개 마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2002년도에는 서산시 해미면 동암리 볏가릿대(참여조사), 서산시 온석동 볏가릿대(참여조사), 서산시 지곡면 장현 2리 볏가
릿대(참여조사), 태안군 이원면 관리 볏가릿대(참여조사) 등 4개 마을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외에 서산시 지곡면
환성 2리와 3리, 그리고 지곡면 연화리, 지곡면 산성 2리 등 4개 마을에서도 볏가릿대를 세우고 볏가리제를 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서산시 대산면 운산 5리 등 현재 서산지역을 포함한 당진 태안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대부분의 마을에서는 볏가릿대란
명칭을 사용하고 있었음.
11) 현재 전승되고 있지는 않으나 아산시 도고면 신용 1리와 홍성군 홍북면 상하리 하산마을의 경우에는‘노적가리’
란 명칭이
사용되었음을 구술자료를 통해 알 수 있었음.(자료제공:한남대 김효경)
7
http://seosan.cult21.or.kr

7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