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4페이지

15페이지 본문시작

아산리 시장에 나아가 미리 준비한 태극기를 흔
주도하에 면민을 중심으로 전개했다. 이들 4인
들면서 독립만세를 부른 독립운동으로 보여진다.
은 전국 각지에서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나고 있
4월 2~3일에는 밤8시 영인산에서 횃불을 올리
음을 듣고 군중과 더불어 독립만세를 불러 독립
는 것을 신호로 구읍 아산리에서 기독교인들이
선언을 성원할 것을 모의하여 시장에서 독립만
주동을 하여 수많은 군중들이 독립만세를 부르
세를 부를 것을 결의했다.
는 독립만세운동이 있었고, 상성리 뒷산 대흥당,
이들은 군덕리 시장에서 약600여명의 시장 군중
신운리 뒷산 형제봉, 성내리(안골) 뒷산에서 횃
과 함께 독립만세를 부르고 오후3시경에는 곤봉
불만세운동이 있었다. 또한 해안 지역인 백석포
을 휘두르며 군중을 지휘하여 면내의 헌병 선장
뒷산에서 횃불을 올리고 독립만세를 불렀다.
주재소에 몰려가 투석 등으로 주재소와 창문을
파괴했다. 특히 김천봉은 군중들 중에서 솔선하
■ 신창의 3·1운동
여 군중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부르고 헌벙주재
소를 파괴하는데 앞장섰다. 이에 일제 헌병 조장
신창 3·1운동은 4월 2일에 있었다. 이 독립만
장사손삼랑이 발포하여 만세군중을 강제로 해산
세운동은 이덕균등의 주도하에 읍내리 주민을
시켰다. 또한 동일 군내 1개소에서 오후8시 산
중심으로 전개됐다. 이덕균 이외 박태화, 정윤
위에서 횃불을 올리고 독립만세를 부르다가 10
홍, 김근순, 강순화, 손천일, 김원배, 승일상, 이
시경에 해산하는 독립만세운동이 있었다.
상구, 김학삼, 김상준, 신흥남, 이창구, 강복분
등이 오후 8시경 읍내리 주민 약200명과 함께
■ 기타지역의 3·1운동
학성산에 올라가 횃불을 올리고 독립만세를 불
렀다. 이어 이덕균이 관청을 쳐부수자고 말을 하
이외 독립만세운동으로 3월 31일 탕정, 염티, 배
자 박태화는 이덕균과 함께 군중들을 지휘하여
방 및 송악 등 여러 면지역에서 각 마을의 산 50
전원이 하산했다. 먼저 면사무소에 도착하여 정
여개 소에서 횃불을 올리고 2500여명의 면민들
윤홍이 투석하여 문 2매를 부수고, 이어 헌병주
이 독립만세를 불렀다. 염티 백암리에서는 영신
재소로 가서 문등의 유리를 투석하여 깨뜨렸다.
학교 여교사인 한연순과 이화학당 학생인 김복
또한 군중들은 신창 공립보통학교로 이동하여
희가 주도하여 해가 진 후 마을의 북쪽 산 위에
교정에서 독립만세를 부르자 학교장인 종방교와
올라 횃불을 올리고 주민 약20명과 대한독립만
시비가 벌어졌다. 이어 박태화가 먼저 투석하자
세를 불렀다. 또 신방리에서는 오봉환이 고종의
군중들이 합세하여 투석을 하여 272매와 문4매
인산 때에 상경하여 입수한 독립선언서를 가져
를 파괴하였다. 이 과정에서 특히 강달성(운교)
와서 박동은 등과 의논하고 마을 주민들을 설득
은 학성산 횃불만세운동에 참여하고 신창면사무
하여 횃불을 올리고 독립만세를 불렀다.
소와 헌병주재소 및 보통학교에서 군중에 선두
송악에서의 독립만세운동은 현재까지 밝혀진 바
에 서서 투석을 하면서 군중들의 활동을 적극적
에 의하면 이날 하루뿐이었다. 수형자 명부에는
으로 유도하였다.
41인이 보안법 위반으로 온양헌병대 분견소에서
태형의 형벌을 받았다. 이 자료에 의하면 온양헌
■ 선장의 3·1운동
변분견소에서 거산리의 한량수, 최영래, 박광래,
곽창영과 동화리의 김광서, 정회쇠등 6명은 태
선장 3·1운동은 4월 4일에 있었다. 이 독립만
형 90도를 받았고, 나머지 35인은 태형 60도를
세운동은 정수길, 서몽조, 임천근, 오상근등의
15
아산타이딩
A-san of Tidings

1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