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6페이지

3페이지 본문시작

영화는 우리에게 무엇을 주는가
발행일
: 2002
년 월
6
15 ]
---------------------------------------------------------------------------------------------------
9000?
을 연상케 하는 섬뜩함이 공존하는 할리 조
에 대한 평
엘 오스먼트의 연기는 영화를 끌어가는 가장 큰
힘이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로봇의 개발은 진정 필요한
것인지 질문 해 볼 수 있다 문명의 변화를 위한
고철 신세가 될 뻔한뒤 환락의 도시를 거쳐 하
신개발 그 자체를 중요시한다는 점과 인간의 대체
비 박사를 찾아가는 두번째 부분은 초반부의 강렬
와 인류의 종말을 대비한다는 면에서 불길한 징조
한 인상에 비해 초점이 다소 흐트러진다 데이빗은
를 뿌릴 확률이 더욱 크게 감지된다.
자기가 특별한 존재가 아니며 프로그램된 로봇임
을 알게 된다 이 대목에서 영화는
데이빗의 사랑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새로운 미래 사이파이
과 슬픔이 프로그램된 것이라면 도대체 진짜 사랑
드라마 스릴러
"A.I.
인공지능 은 그러한 불안감을
"
이란 어떤 것인가 라는 다분히 철학적이고 윤리적
전하기에 충분한 영화이다 로봇이라는 인간의 창
인 물음을 던진다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로봇을
조물에 초점을 맞추어 한층 깊이 있게 기계와 인
통해 현대 사회의 어두운 문제들을 끄집어낸 셈이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판타지 동화이다 하지만
조심스런 나레이션의 방식과 시각적인 경이로움
속에서 발생되는 감성적인 부분이 부족함을 느낄
특수효과의 기술력과 이를 이끌어내는 상상력의
수 있다.
산물인
A.I.
의 비주얼은 특히 폐기물 축제와 루즈
시티가 나오는 두번째 부분에서 부각된다 그러나
“A.I.
인공지능 은 연출자의 신념과 야심이 민감
"
데이빗과 푸른 요정의
바다속 만남 이 주는 시적
하게 들여다보이는 작품이다 지속적으로 눈과 귀
인 감흥을 빼고는 대부분 어디선가 봤던 이미지들
를 곤두 세우게 만드는 이야기는 관객의 집중력을
새롭다 는 느낌을 주기엔 모자람을 드러낸다
느슨하지 않게 만든다 인간과 그가 만들어낸 기계
영화의 끝부분은 보기에 따라 모호할 수도 있다.
장치와의 연결점을 도덕과 윤리적인 면에서 지적
평단의 시선이 엇갈린 것도 그 부분이다 냉소적이
하므로 무겁게 뿌려지는 여러 가지 메시지는 농도
고 철학적이며 급진적인 큐브릭과 감성을 다룰 줄
가 진하여 가볍게 처리할 수 없을 정도이다 결론
안다는 스필버그의 이상적 결합
평가는 결말에
은 완전한 동화 식의 해피엔딩도 아니고 비극적인
대한 해석만큼이나 자유롭겠지만 큐브릭이
이 영
참담한 결과를 주지도 않지만 스필버그의 창작력
화는 당신의 감성적인 부분과 더 잘맞는다 며 스
이 확대된 모습이 엿보이는 작품이다.
필버그에게 감독을 맡겼던 것이 다 이유가 있었던
것 같다.
영화는 세부분으로 나뉜다 첫번째는 데이빗의
탄생 입양에서 버림받기까지 두번째는 지골로 조
주드 로 와 함께 하비 박사를 찾아가기까지 마지
막은 탄생비밀을 알게된 데이빗이 충격을 받고 바
닷 속에 가라앉은 뒤의 이야기다.
첫부분은 빛과 어둠이 혼재된 미래사회의 비주
얼과 잘 짜여진 구성이 주는 긴장감이 팽팽히 맞
서면서 탁월한
드라마 를 만들어낸다 먹지는 못
하지만 부모의 식사 광경을 물끄러미 바라보는 데
이빗 숟가락 뜨는 시늉을 하며 히죽 웃어보일 때
그의 눈빛이 슬프다 바보스러울 정도의 천진함과
큐브릭의 걸작
스페이스 오딧세이
2001
- 8 -

3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