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7페이지

9페이지 본문시작

대체적으로
‘ '
자 형으로 구성된 중부형에 속하며 우리나라 가옥의 독특한 특징과 같이 온
돌방의 구조와 창의 크기가 작으며 지붕이 낮다 가옥의 평면적인 구조는 방위를 중시해서 통
풍이 잘되고 생활하기에 편리하며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뜻하도록 남향 서향 동남향의
위치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근대화가 되어가면서 전통 재래 구조의 가옥의 모습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6.
지명
산천
온양군 안에 있는 마을 산 내 강 들 바위 우물 고개 논 밭들의 여러 이름을 지명총람 한
글학회 발행
; <
충청남도편 에 의하여 가려 뽑아 보면 다음과 같다
>)
온양군 전체에 흩어져 있는 산 강 내 이름들은 더러는 몇 개의 면에 걸치기도 하고 더
러는 몇 개의 동이나 이에 걸치기도 하므로 이런 것들은 각 면 아래에 이속 시키지 않고
별개로 다루었다.
거치럭 산
온양의 초사리와 송악면 동북리 경계에 있는 산 높이
347m.
곡교평야
천원군 풍세면으로부터 배방면을 거쳐 온양 탕정면 염치면 신창면 인주면에
걸쳐 있는 넓은 들로 곡교천을 중심으로 펼쳐져 있음.
쑥개 곡교천
설화산 서달산
온양 장존리 좌부리와 송악면 외암리 배봉면 중리에 걸쳐져 있는 산
높이
441m
가 되는 붓끝 모양의 봉우리가 솟아 있어서 그 기세가 매우 영특하고 장관이
므로 이 산이 비치는 곳에는 인물이 많이 난다고 전해 짐.
쇠일 내 금곡천
배봉면 수철리 망경산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흘러 쇠일을 지나 온양
의 좌부리에서 온양천으로 들어가는 내.
신정호
온양 방축리와 신창면 점량리에 거쳐 있는 저수지로서 온양의 유일한 유원지임
오목 내 오목천
온양 기산리와 신창면 창암리에서 발원하여 점량리에 이르러 신정호를
이루고 실옥리를 거쳐 곡교천 도 산천 으로 들어가서 온양과 신창면의 경계를 이룬 내
온양천 지둥내 주천
송악면 거산리에서 발원하여 송악면 중심을 뚫고 흘러 온양 읍내
리를 거쳐 좌부리에서 쇠일내를 합한 후 곡교천 도 산천 으로 들어가는 내
옷밥골 내 의식천
음봉면 쌍용리 연암산과 쌍용리 용화산 도 산천 에서 발원하여 온양
의 의식리와 신휴리를 거쳐 운교리 앞에서 거무내와 합하여 둔포산으로 들어가는 내.
지역
송악면
? 1914
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남하면의 방산 궁평 마곡 침곡 오미 역촌 구산 외암 회

9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