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3페이지

89페이지 본문시작

옛 일본어 아산군지
아) 특수연구
2기작 마령서 재배. 공업원료로서 자리재배 아울러
모내기전 마령서 재배
싸리세공등은 본교의 특수연구에 속하며 지방을 이용하는 것이 아주 많다
(18) 이순신의 묘(李舜臣의 墓 : 8㎞)
1리쯤 달리다 좌우로 갈라지는 분기
온천리에서 북쪽을 따라 아산 가도를
. 좌는 아산으로 가는 길이고 김옥균의 묘와 명치 27~28年 전쟁
점에 이른다
. 이순신의 묘를 찾는 사람은
으로 유명한 청국병의 상륙지 백석포 방면이다
1리 가량 가지 않으면 안된다. 길은 넓지 않으나 구능의 기
우측 길을 다시
, 가을의 경치가 좋다. 물이 마른 개울의 경
슭을 구불구불 돌아가게 되어 봄
. 물이 마른 개울이 두서넛 있지만, 자동차로는 그대로 드라이브가
치가 좋다
. 산에 닿는 곳에 새로운 학교가 1동 보인다. 이곳이 삼거리로 묘는 뒷
된다
. 학교로부터 묘까지는 2.3정이지만, 길같은 길은 없고 겨우 갈 수
산에 있다
. 도중에 비석이 2개 있고 길이 겨우 닿는 곳에 광
있는 이름뿐인 소로이다
. 이
장이 있으며 그 안쪽에 이끼 낀 돌로 싸인 속에 잔디에 덮인 묘가 있다
(임진왜란)의 용장 이순신의 묘이다. 묘의 곁에는 상충정무지비
것이 문녹 역
. 비면에는
가 영웅의 공을 자랑하듯 의연하게 솟아있다
살았을 제는 수레와 옷을 주어 영화롭게 하고 잔치를 베풀어 위로하며 음
, 죽은 뒤에는 다섯 솥의 융숭한 제물로 제사를 올리며 대대로
악에 올리고
, 공로를 기폭에 새겨 그 밝은 빛과 아름다운 절개
녹을 내려 봉양하게 하고
로 하여금 천지에 빛나고 산천에 짝하게 함으로써 호국하는 직책을 맡게 하
여 백성에게 좋은 복을 입혀주도록 함은 옛적 임금들의 공신을 표창하던 바
. 그러나 비를 세워
이더니 주나라 이후로는 그 법이 점점 없어지고 말았다
비명을 새기는 것은 실상 기폭에 써서 전하던 옛 뜻이 오히려 남은 것이며
. 왕조의 빛머리에
그 중에서도 특별한 것은 임금이 비문을 짓는 것이다
는 ?지극한 덕이 있는 원로?라 썼고 서달의 빗머리에는 ?충성스런 뜻에 티
한점 없는 이?라 썼거니와 이런 특전을 받는 분이야 千년 동안에 몇이나 되
- 87 -

89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