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0페이지

85페이지 본문시작

[1] 강봉수
姜鳳壽
<1543(중종 38년) ~ 1615(광해군 7년) >
조선 중기의 효자이다. 본관은 진주(晉州)고 온양 출신이다. 진주 강씨 온양 입향조로서 판관을 역임한
자위(自渭)의 증손자이고 판관 문필(文弼)의 손자이며 교위(校威) 기(琦)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공산(公
山-공주) 이(李)씨이며 부인은 죽산(竹山) 박(朴)씨이다. 자는 덕수(德 )고 호는 창암(窓巖)이다. 1573(선
조6)에 진사시에 합격했다. 1580년(선조 13)에 문과에 급제했으나 나중에 과거시험 답지가 없어져서 당
시 감독관이 탄핵을 받았고 이로 인해 출사가 늦어졌다. 진산군수 등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다가 1604
년에 건강이 좋지 않아 평창군수를 끝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임진왜란 때에는 진산(珍山)을 지키는 데
공을 세워서 원종공신 3등에 책록되고 도승지에 추증되었다.
평소에 효성이 지극하여 1666(현종7)에 송준길(宋浚吉)의 상소로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1634년(인조
12)에 온양에 정퇴서원(靜退書院)을 건립할 때 함께 세운 충효당(忠孝堂)에 이순신(李舜臣), 윤현(尹俔)과
함께 배향되었다. 1791(정조15)에 예조참판으로 가증되었다. 그의 효자 정려와 묘는 배방 감탁동(甘卓洞),
현재의 신흥리 감태기(감택이) 마을에 있다. 정려 옆에 신도비를 세웠다.
<강봉수 효자 정려>
<강봉수의 묘>
[2] 강이기
姜履箕
< ? ~ ? >
조선 말기의 효자다.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창암(窓巖) 봉수(鳳壽)의 9세손으로 자는 사명(士明)이다.
부친의 병환에 백일 동안 지극정성으로 하늘에 기도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중한 지경이 되자 차례
로 세 손가락을 끊어 피를 흘려 넣어드렸다. 부친이 돌아가시자 애통함이 심하여 뼈만 남을 정도로 수척
했고 3년 동안 시묘를 했다. 그의 효행이 조정에 알려져서 장예원 판결사(判決事-정3품)에 추증되었고
1859년(철종 10)에 효자 정려가 내려졌다. 전재(全齋) 임헌회(任憲悔)가 정려기를 지었고 인주면 도흥2리
섬말에 효자 정문이 전해진다.
84

8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