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0페이지

77페이지 본문시작

다. 부인은 여산 송(宋)씨로 감역(監役) 징원(徵遠)의 딸이다. 자는 계심(啓心), 호는 술봉(述峯)이다.
1717년(숙종 43)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승문원에 출사하였으며 1723년(경종 3)에 성현도찰방에
이어 단양·가평군수를 역임했다. 1728년(영조 4)에 일어난 이인좌의 난을 진압할 때 도순무사 오명항(吳
命恒)의 종사관으로서 승첩장계를 초(草)했다. 1729년부터
사헌부장령·사간원헌납·천안군수·사간원사간·대사
간·사헌부집의를 역임했다. 1739년(영조 15)에 세자시강
원 보덕과 승정원 좌승지를 거쳐 1742년 병조참의에 오르
고 1744년(영조 20)에 통정대부가 되었으나 이 해에 65세
로 졸하였다.
그는 여러 관직을 역임하면서 청백(淸白)으로 명성이 높
았다. 집안에서는‘승지공(承旨公)’
이라 칭한다. 유집(遺
集) 2권이 있었으나 전하지 않는다. 묘는 아산시 염치읍 산
양리 종중 묘역에 있다. 성균관 박사 이근제(李根濟)가 짓
<허옥의 묘 상석>
고 양재목(梁在穆)이 쓴 묘갈이 있다.
[125] 홍가신
洪可臣
<1541(중종 36년) ~ 1615(광해군 7년)>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이다.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토홍(土洪)이며 염치 대동리 출신이다. 윤창(胤昌)
의 손자이며 남양 홍씨 아산 염치 입향조인 온( )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흥양(興陽) 신(申)씨로 군수 윤필
(允弼)의 딸이다. 자는 흥도(興道)이고 호는 간옹(艮翁)·만전당(晩全堂)이다. 행촌(杏村) 민순(閔純)과 초
당(草堂) 허엽(許曄), 그리고 퇴계(退溪) 이황(李滉)에게 수학했다. 1567년(명종 22) 진사시에 합격했지만
과거와 관직에 뜻을 두지 않았다. 학행으로 천거되어 1571년(선조 4) 강릉참봉이 되었다가 능력을 인정받
아 예빈시주부로 특진되었고 부여현감을 지내기도 했다.
부여현감으로 재직하던 1575년(선조 8)에 백제의 충신 성충(成忠)·흥수(興首)·계백(階伯)을 모시는 삼
충사(三忠祠)를 세워 그들의 충의가 후세에 전해지도록 했다. 이후 형조좌랑·지평·안산군수 등을 거쳐
수원부사를 지내면서 구황(救荒)에 공을 세워 표창을 받기도 했다.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 모반
사건이 일어나자 그와 가깝게 지냈다 해서 파직되었다가 1593년 파주목사를 지내고 이듬해 홍주목사(洪
州牧使)가 되었다.
왜란 중이던 1596년(선조 29)에 이몽학(李夢鶴)의 난이 일어났고 그는 박명현(朴名賢)·임득의(林得義)
등과 함께 홍주를 방어하고 난을 평정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그 공으로 1604년(선조 37) 분충출기합모
적의청난공신(奮忠出氣合謀迪毅淸難功臣) 1등에 영원군(寧原君)으로 봉해졌다. 이후 강화부사·형조참
판·강원도관찰사·개성부유수 등을 역임했다. 광해군 때 장예원정·한성부우윤 겸 지의금부사를 역임
하고 1610년에 형조판서로서 관직에서 물러났으며, 사직 후에 국가에서 내려지는 녹을 사양했다. 봉조하
(奉朝賀)로서 고향에서 머물다 75세에 졸했으며 우의정에 추증되었다.
76

77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