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9페이지

75페이지 본문시작

따서 임성면이라 하였다. 조선시대 예산현 읍치이자 통합 예산군의 군 소재지였던 예산리가
에 “광시역은 현 남쪽 19리에 있다.”라 하고 『여지도서』에는 “광시역은 금정도(金井道)에
예산의 진산ㆍ주산인 금오산 바로 남쪽에 있다.
속하는데 군 남쪽 19리에 있다.”고 하였다.
3)삽교읍(揷橋邑)
6)대술면(大述面)
군의 중서부에 위치한 읍으로 읍소재지는 두리(頭里)이다. 조선시대 덕산현 지역으로
군의 동부에 위치한 면으로 소재지는 화천리(花川里)이다. 조선시대 예산현 지역으로
1914년 대조지면ㆍ장촌면ㆍ대덕산면ㆍ현내면 등이 합쳐져 예산군의 삽교면(揷橋面)이 되
1914년 대지동면과 술곡면의 여러 동리를 합쳐 예산군 대술면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었다가 1970년 읍으로 승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관내를 북류하는 삽교천에 있던 삽교
‘대술’이라는 명칭은 1914년 통합 당시 대지동면의 ‘대’자와 술곡면의 ‘술’자가 합쳐져 생긴
(揷橋)에서 유래한 지명이라 한다. ‘삽교’는 누에가 고치를 짓도록 마련해 놓은 짚이나 잎나
이름이다.
무 등 섶에서 유래한 ‘섶다리’가 ‘삽다리’로 바뀐 것이라고도 하고, 어원상 홍수 때 붉은 황
7)대흥면(大興面)
토물이 범람하는 데서 유래한 삽내(沙邑川, 揷川, 薪川)에 놓인 다리라 해서 불리게 되었다
고도 한다. 그 밖에도 삽교 근처에 살던 새아씨가 친정어머니의 부음을 들은 후 냇물을 건너
군의 중남부에 위치한 면으로 소재지는 동서리(東西里)이다. 조선시대 대흥군 지역의 중
지 못해 애태워 하는 모습을 보고 마을 사람들이 섶으로 다리를 놓았다는 이야기와 흥선대
심지로 1914년 읍내면과 근동면의 여러 동리를 합쳐 예산군의 대흥면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원군이 덕숭산 아래로 남연군 묘를 이장할 당시 상여가 건너갈 만큼 다리가 넓지 못하여 섶
있다. ‘대흥’이라는 명칭은 『삼국사기』에 “임성군(任城郡)은 본래 백제의 임존성(任存城)이
으로 다리를 확장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한다.
었는데 경덕왕이 개칭한 것이다. 현재의 대흥군으로 영현이 둘이다.”라는 기록으로 처음 등장
한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고려 초 대흥으로 고쳤다는 기록이 있는데, 태조 왕건이 이 일대에
4)고덕면(古德面)
서 후백제의 견훤군을 대파하여 크게 흥한 곳이란 의미에서 지명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 당시
군의 서북부에 위치한 면으로 소재지는 대천리(大川里)이다. 조선시대 덕산현 지역으로
대흥군에 속한 영현으로 청정현(靑正縣, 청양)과 예산현이 있었는데 그만큼 대흥군의 위상이
1914년 고현내면ㆍ도용면ㆍ고산면ㆍ거등면 등을 합쳐 예산군의 고덕면이 되어 현재에 이
예산현보다 높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대흥군은 1681년(숙종 7) 신양면 황계리와 녹문리 경계
르고 있다. ‘고덕’이란 명칭은 1405년(태종 5) 이산현(伊山縣)과 덕풍현(德?縣)을 합쳐 덕
에 있는 박산(朴山) 서쪽 태봉에 조선 18대 현종의 태실을 봉축하며 승격된 것이다.
산현으로 삼을 때 읍내가 이산현 지역(읍내리)으로 옮겨가게 되면서 덕풍현의 옛 읍내가 있
8)덕산면(德山面)
던 곳이라 하여 유래한 고현내면이 통합 예산군의 한 면으로 통합되며 고현내면의 ‘고’자와
덕산의 ‘덕’자가 합쳐져 생긴 이름이다.
군의 서부에 위치한 면으로 소재지는 신평리(新坪里)이다. 조선시대 덕산현 지역의 중심
지로 1914년 현내면과 나박소면의 여러 동리를 합쳐 예산군의 덕산면이 되어 현재에 이르
5)광시면(光時面)
고 있다. ‘덕산’이라는 명칭은 1405년(태종 5) 이산현(伊山縣)과 덕풍현(德?縣)을 합쳐 각
군의 남부에 위치한 면으로 소재지는 광시리(光時里)이다. 조선시대 대흥군 지역으로
현의 머리글자를 따 붙여진 이름이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이산현은 본래 백제의 마시산
1914년 일남면과 이남면의 여러 동리를 합쳐 예산군 광시면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광
군(馬尸山郡)인데 신라에서 이산군(伊山郡)으로 고쳤고 고려 현종 9년에 운주(運州) 임내
시면 외에 광시리에서도 확인되는 ‘광시’라는 명칭은 조선시대 이 지역에 광시역(光時驛,
에 붙였다가 뒤에 감무를 두었다. 덕풍현은 본래 백제의 금물현(今勿縣)인데 신라에서 금무
光世驛)이 있어 역촌ㆍ역말ㆍ광시 등으로 불린 것에서 유래한 것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今武)로 고쳐 이산군의 영현으로 삼았고 고려 현종 9년에 운주 임내에 붙였다가 명종 5년
2.지리와역사
75
74
내포의뿌리예산학

7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