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6페이지

74페이지 본문시작

하고 있던 토정(土亭) 이지함이 아산리 동쪽 구향교골에 있었던 것을 이건한 것이
라고 한다. 1819년에 간행된「신정아주지(新訂牙州志)」
에서는 토정 이지함이 아산
향교를 이건한 시기가 만력(萬曆) 경술년(庚戌年 1610년, 광해군 2)이라고 되어 있
는데, 이지함의 몰년이 1578년(선조 11)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는 착오가 있는것
으로 여겨진다. 아마 향교 이건후 1610년에 대성전·명륜당·동무·서무를 중건하
였다고 하는데 이러한 사실이 착종된 결과로 여겨진다. 또한「신정아주지」
에 의하면
1819년 여름의 폭우로 향교가 심하게 훼손된 것을 현감 윤정식의 노력으로 대성전
을 수리·보수하고 홍살문을 새로 세웠다고 밝히고 있다. 그 후 이 아산향교는
1864년(고종 1)에 중수하였다.
현재 본향교 대성전에는 오성(五聖)과 송조사현(宋朝四賢) 우리나라 18현의 위패
를 봉안하고 매년 음력 2월과 8월 상정일(上丁日)에 석전을 봉행하고 있으며 공자탄
강일인 음력 8월 27일에 기념행사를 거행해오고 있다.
아산향교는 영인산의 북쪽 사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건물의 배치는 북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전면에 있고 제향공인인 대성전이 후면에
있는 전학후묘(前學後墓)의 배치형식이지만 방위상으로는 대성전이 남쪽에 명륜당
이 북쪽에 위치하는 결과가 되고 있다. 이와같은 북향배치는 대성전 안에 위패배치
에도 그대로 영향을 미쳐 동무와 서무가 각각 방위상으로는 서쪽과 동쪽에 위치하
도록 하였으며, 동재 또한 명륜당이 서쪽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향교의 입구에는 홍
살문이 있으며 이어 외삼문과 담장이 명륜당 동재 대성전 등을 감싸고 있다. 대성전
과 명륜당 사이에 내삼문이 시설되어 있는 것은 다른 향교와 다른점이 없다. 그러나
명륜당과 대성전이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외삼문과 명륜당만 일직선상에 놓여
있고, 다시 명륜당의 서쪽에 있는 동재가 내삼문 대성전과 일직선상에 놓여있다. 이
와같은 건물배치는 산지에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타난 모습으로 풍수설이 반영된
결과로 여겨진다.
향교건물의 규모는 대성전 21평 명륜당 12평 동재 9평 기타건물 3동 30평이다.
이중 대성전은 정면 3간 측면 2간의 맞배지붕의 건물이며 익공양식으로 가구하였다.
72
온양·아산의 문화재

74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