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9페이지

73페이지 본문시작

이와 관련해 지리지상으로 진
다. 그런데 이들 사업은 주로 읍치 공간 그 자체에 주목하는 경우가 많은데, 지금까지 살펴
산ㆍ주산을 확인할 수 없는 덕산현
보았듯이 지역의 실제적ㆍ상징적 중심으로서 읍치가 갖는 역사성이나 장소 의미는 읍치가
의 경우 『여지도서』와 『산경』 기록
기대온 진산 또는 주산을 배제하고 생각할 수 없다. 특히 최근 산지와 하천으로 대변되는 생
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읍치 서쪽에
태 환경 요소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통 도시 읍치의 진산과 주산은 도시
위치한 가야산이 진산이자 주산임
공간에서의 생태 환경 확보라는 차원에서 읍치 공간과 더불어 하나로 묶여져 접근될 필요가
을 알 수 있다. 『여지도서』에서 가야
있다.
산까지의 산 흐름을 보면 “가야산은
현 서쪽 10리에 있는데 대치로부터
5.지명
왔다.”, “대치는 현 서남간 15리에
있는데 덕숭산으로부터 왔다.”, “덕
숭산은 현 서남간 10리에 있는데 홍
1)예산군(禮山郡)
주 오서산으로부터 비스듬히 북쪽
1914년 기존의 예산군ㆍ대흥군ㆍ덕산군이 합쳐져 등장한 행정 구역으로 현재 충남 15
으로 뻗어 온다.”라고 하여 덕숭산
개 시ㆍ군 중 하나이다. 조선시대 행정 구역상 군의 동부는 예산현, 서부는 덕산현, 남부는
으로부터 대치, 가야산으로 이어지
대흥군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예산’이란 명칭이 역사상 처음 등장하는 것은 고려 개국 직후
는 산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 919년(고려 태조 2)인데 태조의 후삼국 통일 과정 중 예산 일대를 포함한 삽교, 아산만 지
『산경』에서는 송악산→차유령(차동
역의 우호적 민심과 관련해 ‘예를 숭상하는 지역’이란 의미로 개칭된 것이 아닌가 한다. 당
고개)→오서산→보개산→월산(홍
시 예산현(禮山縣)은 백제 임존성(任存城)이 신라 경덕왕 때 개명된 임성군(任城郡)의 속
[그림14]조선시대덕산현읍치의진산ㆍ주산인가야산(『1872년덕산군지도』)
성)→수덕산(현 덕숭산)으로 해서 가
현 중 하나로 『삼국사기』에는 백제시대 명칭이 오산현(烏山縣)이었고 경덕왕 때 고산현(孤
山縣)으로 바뀌었음을 기록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계속 예산현으로 유지, 1895년(고종
야산으로 이어지는 산 흐름과 가야
산 서술 내용에 “덕산 읍치가 동쪽 9리에 있다.”라 하여 결국 덕산현 읍치의 주산은 가야산
32) 근대적 행정구역 개편 때 홍주부(洪州府)의 예산군이 되었다가 1896년 충청남도 예산
임을 알 수 있다.(표 7) 더불어 앞서 말했듯이 여러 군ㆍ현에서 주산과 진산 개념이 일치되
군으로, 이후 1914년 대흥군ㆍ덕산군과 합쳐져 통합 예산군의 명칭이 되었다.
는 것으로 보아 주산인 가야산이 적어도 조선 중기까지는 진산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그
2)예산읍(禮山邑)
림 14)
지금까지 현 예산군에 해당하는 조선시대 대흥군ㆍ예산현ㆍ덕산현 읍치의 진산과 주산
예산리(禮山里)를 소재지로 하여 군의 동북쪽에 위치한 읍으로 예산군의 중심 지역이다.
을 살펴보았다. 이들 진산과 주산은 지리지나 고지도뿐만 아니라 지역민들에게도 오랫동
1914년 등장한 통합 예산군의 12개 면 중 하나였던 임성면(任城面)이 1917년 예산면(禮山
面)으로 바뀌고 1940년 읍 승격으로 예산읍이 된 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조선시대 예산현
안 지역의 수호신이자 상징적 표식으로 인식되어 왔다. 앞서 말했듯이 최근 전국의 여러 지
자체에서 지역의 장소 정체성 구성이나 역사 문화 자원 확보, 관광 마케팅 등의 차원에서 읍
현내면(縣內面) 지역으로 1895년 근대적 행정구역 개편 이후 예산군의 중심지인 읍내라 하
치를 중심으로 한 읍성, 동헌, 객사 등의 복원을 위한 기초 조사 및 관련 사업이 진행되고 있
여 군내면(郡內面)으로 되었다가 1914년 과거 예산현이 속했던 임존성ㆍ임성군의 이름을
2.지리와역사
73
72
내포의뿌리예산학

73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