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9페이지

65페이지 본문시작

2)예산ㆍ대흥ㆍ덕산의읍치경관
[표2]『여지도서』와 『구한말한반도지형도』상예산일대의길비교
『여지도서』
『구한말지형도』
군ㆍ현
방향
명칭
노선경유
조선시대 읍치는 교통의 결절지로서 뿐만 아니라 지방 행정의 중심지이자 국가적 차원에

내천교로(奈川橋路) 대흥-내석천교(奈石川橋)-차유현(車踰峴)-공주
①대흥-공주
서 통일된 중앙집권 체제를 공고히 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나 통치 이데올로기가 구현되는

×
대흥-온정치(溫井峙)-비치(飛峙)-홍주
②대흥-홍주
구체적 실천의 장이기도 하였다. 그로 인해 읍치에는 지방 행정과 유교적 ‘예(禮)’의 실천을
「대흥군」
×
대흥-웅산리(雄山里)-청양
③대흥-청양
위한 여러 가지 행정 및 제사 시설들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져 있었다. 가령 중앙 정부에서 파

×
대흥-웅산리(雄山里)-홍주
④대흥-홍주
견한 지방관과 행정 업무를 보조하는 향리들의 업무 공간인 동헌(東軒)ㆍ객사(客舍)ㆍ향청

비람대로(庇藍大路) 대흥-몽산교(夢山橋)-(장승로)-예산
⑤대흥-예산
(鄕廳)ㆍ질청(秩廳)ㆍ옥(獄)ㆍ창고(倉庫) 등 그리고 문묘를 모신 향교(鄕校)와 사직단(社

삽치로(?峙路)
예산-증산로(甑山路)-소기현(蘇機峴)-온양
(간로)예산-온양
稷壇)ㆍ성황사(城隍祠, 城隍壇)ㆍ여단(?壇) 등이 그것이다.
예산-장승로-(비람대로)-대흥
⑤예산-대흥
이들 중에서 객사와 동헌은 읍치를 구성하는 핵심 경관이라고 할 수 있는데, 조선 후기 지

장승로(長承路)
「예산현」
예산-장승로-무한천로(無限川路)-덕산
⑥예산-덕산
리지인 『여지도서』의 대흥군ㆍ예산현ㆍ덕산현 관련 기록을 보면 과 같다. 지방관이

회룡동로(回龍洞路) 예산-쌍치(雙峙)-공주
⑦예산-공주
행정업무를 수행하던 동헌이 읍치의 실제적 중심이었다면 객사는 전청에 임금을 상징하는

신례원로(新禮院路) 예산-신례원-대조정로(大棗亭路)-신창
⑧예산-신창
궐패(闕牌)와 전패(殿牌)를 남면(南向)하도록 모셔 놓고 초하루와 보름(朔望, 음력 1일과

삽교로(揷橋路)
덕산-삽교-방화교로(方化橋路)-예산
⑨덕산-예산
15일)에 향궐망배(向闕望拜, 望闕禮)하던 읍치의 상징적 중심이었다고 할 수 있다.
동북 현화교로(玄化橋路) 덕산-현화-하촌로(下村路)-(예산)-(한양)
(간로)덕산-(한양)
「덕산현」

목발로(木發路)
덕산-목발(木發)-대치로(大峙路)-해미
⑩덕산-해미

봉조원로(奉詔院路) 덕산-봉조원(奉詔院)-목욕리(沐浴里)-홍주
⑪덕산-홍주
[표3]『여지도서』의대흥군ㆍ예산현ㆍ덕산현객사및동헌상황

외곡로(外谷路)
덕산-외곡로-마산리(馬山里)-면천
⑫덕산-면천
군ㆍ현
객사및동헌(아사)기록
정청(正廳)이3칸,동대청(東大廳)이12칸,견사정(見思亭)이14칸,서헌방(西軒房)이12칸,동헌
객사
방(東軒房)이16칸,하마대(下馬臺)가4칸이다.
대흥군
이처럼 근대 이전 전통적 길 체계상 예산 일대에서는 조선시대 대흥군ㆍ예산현ㆍ덕산현
구동헌(舊東軒)이 9칸, 신동헌(新東軒)이 16칸, 남상방(南上房)이 4칸, 북상방(北上房)이 5칸, 대
아사
청(大廳)이6칸,초당(草堂)이5칸,행랑(行廊)이7칸이다.
읍치를 중심으로 거의 비슷한 비중으로 읍치 간 그리고 읍치와 주변 군ㆍ현 간에 긴밀하게
객사 정청이3칸,동상방이4칸,서헌방이3칸,중대청이3칸,남청방(南廳房)이4칸,하마대가3칸이다.
도로망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예산 일대 『조선
예산현
아사 동헌이4칸,책방이3칸,내아가11칸이다.
지형도』를 보게 되면 대흥군과 덕산현 읍치를 결절지로 하는 기존의 도로 체계는 일제강점
객사 62칸이다
기를 거치며 큰 변화가 없는 대신 예산면의 예산리 일대는 주변 지역과의 연계를 위한 교통
덕산현
아사 81칸이다
망 체계가 보다 조밀하게 조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통합 예
산군의 중심지가 된 예산면은 행정 지위상 1940년의 읍 승격에서 보듯 도로 체계상에서도
이전보다 중심성이 더욱 강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1922년 장항선 철도의 예산역 개
현재 예산 지역에는 대흥 동헌만이 18칸 규모로 복원되어 있고(그림 8) 그 외 동헌이나 객
통은 이후 예산 일대를 포함한 충남 서북부 지역의 주요한 중심지로 군 소재지인 예산리 일
사의 모습은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조선 후기 제작된 각종 고지도에서 대흥ㆍ예산ㆍ덕산 읍
대가 급성장하도록 하는 주요한 발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치의 동헌과 객사의 위치 및 건물 방위를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대흥과 덕산은 각각 서쪽
2.지리와역사
65
64
내포의뿌리예산학

6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