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8페이지

65페이지 본문시작

음식을 담아 나르는 운반구인데 갸자 라고도한다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너비
길이
정도의 널바닥을 만들고 주위에 높이
정도의 널쪽을 둘렀다
1m,
1.5m
20cm
앞 뒤 양쪽에 긴 막대기를 두 개씩 달아 손잡이로 삼고 가마를 메듯이 들어서 날랐
글 방 서당
7.
글방은 서당
또는 서숙
이라고 부르는 사설교육 시설이었다 한자
가 중국에서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이 약
여년이 되었으니 이 글방의 역사
2,000
도 거의
여년이 될 것이다 대개의 경우에 마릉 란위로 글방을 마련하여
2,000
6
7
세 어린 아이에게는 천자문
을 가르치고 그 다음에는 계몽편
동몽선
등의 기초적인 한문을 익혔다 그리고 나서 문장 독
04i
해력에 따라 통감
소학
등을 배우게 된다
글방의 운영 방법은 자식을 가르치고자 하는학부형들이 의논하여
명 정도의
5
10
학동
들이 공부할 수 있는 사랑방을 빌어서 한문에 조예가 있는 스승을 초빙하
여 훈장
으로 모신 다음 수익자 부담 원칙으로 일체의 운영 경비를 학부형이
부담하였다 대개의 경우 수업료는 곡물로 납부했는데 초여름에는 보리
1
였고 가을 추수후에는 벼
정도였고 춘추에 훈장의 의복
60kg)
1
60kg)
1
씩을 공동 부담으로 면련해 주는 정도였다
글방의 학동들은 배운 한문을 소리내여 읽고 붓으로 쓰고 또 읽은 글을 암송하며
훈장의 지시에 따라 글을 짓거나 시
를 지어서 잘되고 잘못된 점을 지도 받는 것
이 일반적이었다 글방의 교육 방법은 개별지도의 방식이었고 능력에 따라 교과의
진도를 조절하였다 그리고 무더운 하절기에는 시원한 정자
나 또는 모정
에서 시
나 산문
등의정서적인 글이 실린 모문빈보
당음
등을 읽으면서 시문
을 습작
하도록 하였고 가을에서 겨울을 거쳐
봄에 이르는 기간에는 사서
대학 맹자 논어 주용 와 오경
시경 서경 역
경 예기 춘추 등의 심오한 유교의 경전을 공부하였다 그러나 이렇나 경전들은 시
골 글방에서 가르치기는쉽지 않았기 때문에 향교
나 서원
또는 성균관
均館
같은 고등교육 기관에서 성년이 된 유생들이 배웠다
서당은학교 교육이 발전하면서 점점 쇠퇴하였으며 일제 침략기에 민족정신 말살정
책으로 서당에 대한 탄압을 강화했기 때문에 더욱 쇠퇴 일로를 걷다가
년 조국
1945
광복과 더불어 마을마다 소규모 서당이우후 죽순처럼 다시 성황을 이루었으나 우리
의 자주적인 학교 교육이 진흥하면서 서당도 점
쇠퇴하였으며
년의
1950
6· 25
전쟁을 고비로 하여 우리 고장의성당은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다
년 이전에 운영되던 서당으로는 송악면 외암리의 예안 이씨
문중의
1950
서당이 가장 유명했으며 탕정면 매곡리에서 최장환
선생이 지도하던 매곡 서
과 그 이웃마을 홍학자
가 가르치던 신풍서당
그리고
명암리의 남상희
선생이 운영하던 명암서당
이 유명했다
〔 〕
1
독서한 회수
를 셈하기 위해 사용했다 기다란 봉투와 비슷하게 만들어 거죽
에 눈을 두 층으로
5
으로 셈을 하였다
옛날의서당교육은 암기 암송을 주로 하는학습이었다 따라서 학동들은 스승에게 배
운 글을 소리내어 낭독하고 그 낭독한 회수
를 서수
의 눈을 접었다가 펴
면서 헤아렸던 것이다 우리 속담에
맹자
를 일천 번 읽으면 귀신도 굴복시
킨다 는 말이 있다
이와 같이 한문학습은 반복하여 읽고 암송하는 것이 중요했다 서수를 서산
이라고도 한다
〔 〕
2
벼룻물을 담는 그릇을 연적이라고 하는데 주로 도자가로 만들었으며 쇠붙이 옥
돌 등으로 만든 것도 있다
연적의모양은 복숭아모양 둥근 고리모양 네모상자모양 오리모양 거북모양 물고
기모양 개구리모양 용모양 등 여러 가지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 〕
3

6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