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28페이지

633페이지 본문시작

볼수있다.임천향교는가림향교라고도불리는데,임천이삼국시대에는가림으로불려졌



기 때문이다. 향교가 세워진 연대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지만, 동국여지승람의 임천현 학


교조에 군의 동쪽 5리에 향교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어, 임천향교가 조선초기부터 있었다
,

는것을알수있다.


임천향교에는현재대성전,명륜당,동재,서재등이있다.대성전에는공자,안자등5성



(五聖)의 위패를 모셨고, 동무와 서무에는 최치원, 이황, 이이 등 우리나라 18현(十八賢)


의위패를봉안하고있다.




임천향교총무장의로발탁되다.


풍양조씨인조남민이향교에나가니자연스레향교에서는한자에능통한그를홀기와
633
축을 읽을 만한 적임자라고 판단했다. 그 때가 조남민의 나이 마흔다섯이었다. 지금 부여
군은조선시대에네개의고을이었는데그중임천에서원이가장많다.
임천동곡서원에모시고있는선현은조신(趙愼)이다.고려후기의학자이자충절인이며
태종이방원의스승으로알려져있고조남민에게는19대조할아버지가된다.고려공민왕
대에강원도지역에서도호부사를지냈던분인데,본래이름은사겸이었다.고려말에신돈
의섭정으로조정이어지러워지자1368년(공민왕17)에형인조사공과함께신돈을살해
하려는 모의를 하다가 발각되었다. 조신은 이때 사렴(思廉)이란 이름을 신(愼)으로 바꾸
고둘째아들인조개평을데리고임천으로은거하였다.
임천향교만의특별한점
임천향교에서는현재공자를포함한5성과우리나라18현을모시고있다.예전에임천
향교의석전에서모시는분들은이보다훨씬많았었다.1983년이전까지는대성전과동서
무에 총 39위를 모셔왔다, 광복 이후인 1949년에 열린 전국 유림대회에서 향교에 모시는
중국유림의수를줄이고그간동무나서무등대성전이아닌공간에모시던우리나라18현
의위패를대성전에올려봉안하기로결의를한적이있었다.임천향교에서도이것을따라
서1983년부터는공자를포함한5성과우리나라18현등23위만을봉안하기로한것이다.
예전에는 유림들이 향교에 제사를 지내러 오면, 봉투에 돈을 담아 향료라는 이름으로

633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