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39페이지

6페이지 본문시작

4. 어원
4-1. 한자어를 비롯한 각 나라에서 들어온 말은 표준어 뒤에 ( )를 두어 한자나, 국적,
영문 표기를 하였다.
4-2. 순우리말은 형태소별로 분석하였고, 각 요소의 변화되기 전 모습을 밝히고자 하였
다. 형태소 분석시 접사, 조사, 어미의 뜻은 되도록 풀이하지 않고, 어근에 해당하
는 형태소에는 ( )안에 한자를 넣어 뜻을 풀이하였다.
예) 개ː동백-낭구 ‘개(접사)+동백(冬栢)+낭구(木)’
4-3. 어원변천의모습은> 으로시대적앞뒤를표시하였고, 개연성은있으나뜻과형태
가 불분명할 경우엔 ?로 표시하였다.
예) ?니다>댄니다?>대니다. ?기다>댄기다?>댕기다
5. 용례
5-1. 용례는 예산말의 모습을 잘 살려내는 것을 목표로, 최대한 실제로 쓰이는 구어체
문장으로하였다. 용례는뜻풀이뒤에¶로구분하였으며, 하나이상의예문을두고자
하였다.
5-2. 둘이상의예문사이는/으로표시하였다. 단, 이어지는대화문장에는/를하지않
았다.
5-3. 용례에 해당하는 단어는 굵은 글씨로 하였다.
예) 가꼬다 ?? 갖고 오다. ??(타) ‘가지구 오다’가 줄어든 말. ¶책 점 가꽈라./가방
은 가꽜니?
5-4. 용례의 해석을 돕기 위해, 일부 예산말 뒤에 ( )를 두어 해당 한자를 써 넣었다.
예) 송칭이(松蟲-)를 근디렸더니 따거워 죽겄네.
6 충청남도 예산말사전

6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