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8페이지

59페이지 본문시작

다니기 편리하며 무희
나 무녀
들이 이것을 가지고 춤을 출 때에 흔히 사
용했다 합죽선을 접었을 때 손잡이 부분이 모양이 매미의머리처럼 생긴 것을 선두
라 하고 끝은 둥그스럼하게 생기고 손잡이는 직선으로 된 것을 승두
고 했다
〔 〕
포선
포선은 상제
가 외출할 때에 얼굴을 가리기 위해 가
3
지고 다니던 물건인데 장방형
의 벳조각에 대로 된 두 개의 자루가 붙어 있
Ƥ
다 상제가 사용하는 부채이기 때문에 상선
이라고도 한다
무늬
. 6.
건의 겉면에 여러 가지 형상을 나타낸 모양을 부늬 문
문채
라고 하는데
옷감이나 조각
따위에 장식으로 표현하는 여러 가지 모양이 있다 오늘날에는
꽃무늬 물결무늬 물방울무늬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우리 선인들이 즐겨 사용했던
전통 무늬는 뇌문
구름문
능화문
보상화문
완자문
사반원문
얼음문
벽돌문 석쇠문 등이 있었다
〔 〕
-¸v
1
발이나 돗자리 또는 기물 등의 가장자리에 직선을 이리저리 꺾어서 번개
모양을 그려 넣은 무늬를 뇌문
이라고 한다 종묘 제사에 쓰는 제기에 번개무
늬를 넣은 뇌문이 가 있으며 번개무의가 있는 뇌문정
도 있었다 그리고 좀
단순한 뇌문
도있다 정방형의 가운데 마다 우뇌를 상징하는 무늬 하나씩 그려
넣은 것이 있는데 너무 단조로워 예술성이 적다
〔 〕
방원문
네모
2
동그라미
로 이루어진 무늬로서 매우 단순한 구성이다 땅은 네모지고 하늘은 둥
글다는뜻을 상징하는 무늬라고 한다
〔 〕
구름문 구름이나 새가 나는 모양을 본
3
뜬 무늬인데 운문
또는 괴운문
이라고 한다 중국에서 나는 비단에 구
름무늬가 있는 것은 운문 대단
이라고 하여 많은 사라
들이 애용하였다 그
리고 고려청자의 운학문
은 유명하다
〔 〕
종자문 수복
이라는 한자
4
를 예쁘고 아름다운 무늬 글자로 꾸며서 만든 것을 종자문 이라고 한다 중국에서
발달해 온 한자의 글씨체는 하나의 글자를 여러 가지 모양으로 표현하여 예술성을
지니고 있는데 특히 목숨수
와 복
두글자는 인가의 가장 큰 소망이므로 이
두 글자로 종자문 을 만들었다
〔 〕
능화문
마름꽃을 능화
라고하며
5
마름모 모양으로 된 기하학적 무늬를 능화문
이라고 한다
이귀매듭
리매듭
나비매듭
별매듭
소차매듭 세벌감개매듭
대차매듭 네벌감개매듭
이밖에도
외벌도래매듭 도래매듭 단추매듭 연봉매듭 잠자리매듭 아경매듭 동심결매
듭 생쪽매듭 장구매듭 귀이매듭 가지방석매듭 난간매듭 국화매듭 두벌감개매듭 다섯
벌감개배듭 사색판매듭 바둑매듭 가재운매듭 게눈매듭 꼰디기매듭 날개매듭 전복
망사매듭 생동심결매듭 죽은동심결매듭 흔백매듭 가락지매듭 등이 있다 그
리고 갖가지 색사
로 이루어진 끈목으로 다양한 매듭을 맺고 그 끝에 술을 장
식하여 늘어뜨리는 유소
가 있는데 조선후기에는 실내장식 전반에 걸쳐 유소를
폭 넓게 사용하였고 각종 악기 불구
등에도 수식과 장식용으로 많이 사용하였
고공품
藁工
볏짚을 이용하여 만든 물건들을 고공품이라고 하는데 이 짚
. 8.
으로 새끼 초가의 지붕 짚신 멍석등 다양한 고공품을 만들어 이용했다 그 대표적
인 제품은 다음과 같다
〔 〕
섬 가마니보다 크게 짚으로 만들어 곡식을 담느네에
1
쓴느 멱서리이다 짤막한 나무 토막
여개에다 가는 새끼를 감아 기다란 서까래를
10
가로 걸쳐 놓은 위에다 걸어 놓고 짚을 대면서 기직자리를 엮듯이 엮은 다음에 반
으로 겹쳐 양쪽 가장자리를 다시 새끼로 엮어 매어 섬을 완성한다
〔 〕
멱서리 짚
2
으로 날을 촘촘히 속으로 넣고 만든 그릇인데 바닥은 직사각형이며 울이 깊은데 고
리를 달아 걸어 두거나 곡식을 담아 나르기에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 멱서리를
준말로 멱 이라고 부르며 또 멱자
라고도 한다
〔 〕
멱둥구미 짚으로 둥글고
3
울이 깊게 엮어 만든 그릇인데 곡식이나 책소 따위를 담는데에 쓰인다 저에다 말굽
쇠 모양의 굽은 나무를 넣어 손잡이로 삼기도 한다 이 멱둥구미를 준말로 등구미
라고 부른다
〔 〕
삼태기 흙이나 쓰레기 거름 따위를 담아 나르는 데에 스는 그릇
4
인데 가는싸리나 대오리 칡 또는 짚 새끼 등으로 엮어 만든다 앞은 벌어지고 좌
우양편은 뒤로 갈수록 점점 높아져 뒤는 우긋하여 들고 다니기 편하게 되어 있다
사투리로 삼태미 라고도 부른다
〔 〕
구럭 새끼를 그물처럼 떠서 물건을 담을 수
5
있도록 만든 물건인데 섬이나 오쟁이처럼 사용한다 이 구럭을 망태 또는 망태기
라고도 한다
〔 〕
짚신삼기 짚신이나 미투리를 삼을 때에 신날을 걸어 놓고 작업
6
을 하는 틀을 신틀이라고 한다 짚신의 신날을
4
6
하는데 제작방법이나 모양새는 비슷하다 신틀에 걸어 놓고 삼아낸 짚신이나 미투리

59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