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0페이지

58페이지 본문시작

에는 사직단의 신주를 받들고 강화도에 들어갔다가 안전하게 봉환한 공으로 사직령(社稷令)으로 제수되
고 이어 금화현감에 임명되었다.
‘8문장(八文章)’
으로 아산고을에서 이름을 떨쳤다.
[90] 이한일
李漢一
<1723(경종 3년) ~ 1791(정조 15년)>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아산 백암리 출신으로 본관은 덕수(德水)며 유일(遺逸) 요신(堯臣)의 후손이고 석
상(錫祥)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남양(南陽) 홍(洪)씨 부호군 의(儀)의 딸이고 부인은 고령(高靈) 박(朴)씨
동영(東英)의 딸이다. 자는 중협(仲協)이다. 1750년(영조 26) 영조 온행(溫行)행차 때 실시 된 온양별시 문
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정자, 사헌부 지평, 사간원 정원, 승정원 승지를 거쳐 대사간(大司諫-정3품)에 올
랐다. 묘는 아산 음봉 삼거리 덕수 이씨 묘역에 있다. 그가 쓴 마을 산제(방화산 산신제) 축문(祝文)이 지
금까지 전해져서 쓰이고 있다.
[91] 이회
<1567(명종 22년) ~ 1625(인조 3년)>
조선 중기의 무신·충신이다. 본관은 덕수(德水)로 덕수 이씨 아산 입향조 정(貞)의 손자이고 충무공 이
순신의 장남이다. 자는 무백(茂白)이다. 임진왜란 때 아버지를 따라 한산도 대첩 등 여러 해전에 참가해서
공을 세웠다. 뚜렷한 전공은 없지만 아버지를 도와 진중의 여러 일들을 잘 처리한 숨은 공이 많았다. 그러
한 공로를 인정받고 아버지의 직책도 감안되어 음보(蔭補)로 임실현감에 제수되었다가 통훈대부(通訓大
夫-정3품)가 되고 첨정(僉正)으로 승직되었다. 사후에 통정대부 좌승지에 추증되고 임진왜란의 공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었다.
[92] 이훈
李薰
<? ~ 1624(인조 2년)
조선 중기의 무신·충신이다. 본관은 덕수(德水)이며 충무공 이순신의 아들(서자)이다. 무과에 급제한
뒤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 당시에 안현(鞍峴-경기도 시흥 안현동 갈마재)에서 싸우다가 순절하였다.
1796년(정조 20)에 병조참의(兵曹參議)로 추증되었다.
[93] 임상언
林尙彦
< ? ~ ? >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평택이고 매헌(梅軒) 석주(錫周)의 손자다. 자는 광중(光中), 호는 도산(道
山)이며 문장과 학문이 고명하고 시부(詩賦)를 잘 했다. 영조 때에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의 벼슬을 했으
며 91세까지 장수했다. 시집이 남아 있으며 묘소는 예산군 대술면 화산(花山)에 있다.
57

58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