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9페이지

57페이지 본문시작

머굴티 : 아산리에서 남쪽에 있는 작은 고개. 큰바위들이 마치 어금니처럼 생겼으며, 큰 바
위등에 작은 바위가 앉혀서 애를 업은 것처럼 생겼음.
염티고개 : 아산리에서 엽티읍으로 넘어가는 큰고개임 이 고개에 칼바위와 염티읍 서원리의
애기업은 바위불암이 있음.
흐느제 : 아산리에서 염티읍 강청리로 넘어가는 험하고 큰 고개. 예전에는 이곳으로 예산,
홍성 등지로 왕래 하였다.
칼 바위 : 아산리 위 남동쪽에 있는 바위이며, 모양이 칼 같이 생겼음.
여단터 : 새터 뒷산에 있는 여단의 터
비석 거리 : 학다리, 곧 영인면 사무소 앞에 잇는 큰 길이며 현감 이지함, 조해수, 이정악,
윤정식, 조구호의 선정비가 나열되어 있음.
양진말 : 양지마을 영인초등학교 서쪽에 있는 마을, 햇볕이 잘들고 영인저수지를 관통하는
아산만 바닷바람이 시원하게 불어와 살기가 좋다. 예전에는 백정들이 살아 피촌으로 불렀는
데 개를 키우면 잘크지 않는다고 한다.
웃 말 : 객사터 남쪽에 있는 마을이며, 전주 이씨가 살고있음.
향교골 : 영인산 북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며 아산향교가 있음.
샘거리 : 객사터 앞 동쪽에 잇는 마을이며 우물이 있었다고 함.
옥거리 : 영인 초등학교 서쪽 옆의 100m지점에 있는 마을이다.
사마소의 터 : 향교 아래쪽에 있는 터이나 옛날에 폐지되고 다만 옛터만이 존재할뿐이다.
여민루 : 객사터 남쪽 끝 영인 초등학교 남쪽에 있는 문루 2층으로 되어 있는데 태종 15년
(1415)에 아산 현감 최안점이 부임 3년만에 빈객의 래왕 접대를 위하여 지은 문루이다. 루
명은 당시 대문장이었으며 대제학을 지낸 정이오가 지은 루기의 취위민지의를 따서 숙종40
년(1714년)에 지중구원부사인 홍정공 임흥만이 여민루라 하였다. 태종 이후에 다시 건조되었
는지 혹은 구건물 그 대로인지 알 수 없다.
김옥균의 묘 : 샘거리 뒷산에 있는 개화당의 선구자의 김옥균의 묘.
영인 7층 석탑 : 아산 향교의 서쪽으로 200m 떨어진 계곡언덕 위에 있는 이 탑은 옥게석과
탑신이 각 2석으로 된 평조 사각형으로 조성되어 있는데 하단 지대석 일부가 파손된 것 이
외에는 조선 당시 원형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탑신의 모서리에 격주가 있는 것으로 보아 고
려 시대의 옛탑인 것으로 추정된다. 탑신의 높이가 6.58m에 기단 폭은 1.32m이고 가장 윗부
분인 7층 옥개석의 폭은 68cm이다.
관음사 5층석탑(문화재 자료 제 232호) : 관음사 뜰안에 있는 이 탑은 옥개석과 탑신 각 2석
으로 된 평조 사각형으로 조성되어 있는데 현재 탑의 상륜부가 남아 있지 않고 또한 기단도
제것이 아닌 것 같다. 탑신의 모서리에 격주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탑으로
추측되며 이 근처에 있었던 동림사지의 옛 탑인 것으로 추정된다. 탑신의 높이가 2.46m에
폭이 1.55m이며 옥개석 받침은 4단으로 되어있다.
여인 미륵불상 : 조각 연대와 유래는 알수 없으나 마을 안 도로 옆에 서 있는 것으로 보아
민간 신앙의 대상물로 세워진 것 같음. 1매의 화강암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전체 높이는
2.5m로 조각 수법이 졸렬하며 양각이 뚜렷하지 못하다. 불상이라기 보다는 승상이다.
영인 산성 : 영인산 꼭대기에 성이 남북쪽으로 둘이 있는데 북쪽성은 돌로 쌓아 그 둘레가
480척, 높이 10척이며 남쪽성은 흙으로 쌓아 그 둘레사 480척 높이 4척으로서 겹성이 되어
있음. 고려 몽고 난리때 평택군 사람들이 여기와서 피난 하였다고 하며, 신성산성 또는 평택
성이라 불려졌다고 한다.
청덕 선정비 : 아산리 학다리 근처 비석거리 곧 영인면 사무소 앞 큰 길에는 역대 아산 현
감들의 청덕 선정비가 있는데 현재는 영인면 사무소내에 토정 이지함선생 좌상 뒷편에 나열
되어 있었다.
ㆍ 현감 이후 지함인화 영모비
ㆍ 현감 조후 해수 선정비
ㆍ 현감 이후 정악 선정비

57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