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1페이지

55페이지 본문시작

1990. 2. 28
현재까지 형량이 확인된 수형인 지사의 수는
옥중에서 사망이 명
3
징역형 월
5 ): 35
태형
120 ): 89
기소유예
: 15
합계
: 144
그러나 자료에 의하여 수형된 애국지사의 수를 추산할 때
64%
의 등재누락으로 보아 징역형과 태형만
173
명으로 추정된다
◎ ?
4 4
운동에 의하여 추서된 독립유공자
광복 후 독립유공자로 추서된 지사가
1986. 12. 31
현재
18
명이었다
송재만
宋在萬
)- 1997
민재봉
閔載鳳
)- 1978
김부복
金夫卜
)- 1984
남상직
南相直
)- 1984
고울봉
高蔚奉
이인정
李寅正
이춘응
李春應
송봉운
宋奉云
)- 1986
송봉숙
宋鳳淑
)- 1986
남태우
南泰祐
김찬용
金燦龍
김팔윤
金八允
김금옥
金今玉
남창우
南昌祐
남상은
南相殷
남상집
南相集
남상락
南相洛
남상돈
南相敦
다시
1990. 8. 15.
추서된 지사가 전국
613
명중 대호지
4 4
운동과 관계된 분이
20
명이나 된다
1990. 8. 15.
훈장받은 독립유공자
(613
명중 대호지
20 )
충남 대호지
4 4
운동 관련지사
안은 추서 신청한 시도경유지
충남
이달준
李達俊
) (3 1
운동 충 남
애국상
서울
권주상
權周相
애족상
송무용
宋武容
애족상
신태희
申泰熙
전성진
田成鎭
홍월성(
洪月星
경기
김형배
金衡培
남윤희
南潤熙
이완하(
李完夏
충남
권재경
權在京
김장안
金長安
남기원
南基元
남성우
南成祐
안상춘
安相春
원순봉
元順奉
한운석
韓雲錫
이대하
李大夏
불명
고수식
高壽植
김길성
金吉成
최정천(
崔正天
그러나 안타까운 것은 그 공로만으로도 충분히 추서하고도 남음이 있는 지사만도 많으나 본인 및 그
후손의 행방이 묘연하여 추서의 기회를 놓치고 있음이 무엇보다 아쉽다 그 이유는 일제의 한국독립운
동지사의 탄압에 못이겨 가산이 탕진되고 생활근거를 잃게되며 자녀 교육을 못하고 취업의 기회가 박
탈되는 등 심한 곤욕에 지쳐 가족들이 뿔뿔이 흩어지게 되고 어느 분은 흑두형
黑頭刑
의 여독으로 결
혼은 했어도 자녀를 갖지 못하여 절손되는가 하면 출옥 후에 고문의 여독과 지병으로 질병 속에 평생을
살기도 하고 고문독
拷問毒
으로 죽기도 하였다
편저 박상건
唐津文化院

5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