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9페이지

54페이지 본문시작

웃말
24%
22%
3%
7%
0.7%
3%
0.9%
39.4%
새터
23%
23%
9%
3%
3%
2%
3%
34%
갈매지
19%
13%
2%
66%
- 학생분포
구 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마을명
웃말
17
21
12
7
새터
21
20
15
10
갈매지
8
5
4
4
- 최고령자
웃말마을은 94세의 이운보씨, 새터마을은 99세의 전연옥씨, 갈매지마을은 81세의 정경희씨이
- 호당평균소득
웃말마을은 년/1,200만원, 새터마을은 년/900만원, 갈매지마을은 년/1,500만원
3)
자연 경관
영인면의 남쪽 끝자락에 위치해 있으며 남쪽과 서쪽으로는 영인산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
고 북쪽으로는 영인 저수지를 끼고 있는 마을로서 면사무소, 파출소, 은행, 교육등 영인의
중심지이다.
4)
마을 변천 과정
본래 아산군 현내면의 지역으로서 아산읍이 있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통산리,
상리, 하리를 병합하여 이곳에 있는 영인산의 이름을 다서 영산리라 하다가 1922년 아산 군
청이 온양읍 온천리로 옮기고 현내면을 영인면으로 고치는 동시에 영산리를 아산리로 고침.
5)
입 향
전주이씨 경명군 파가 약 300여년전에 거주하여 살아온 후손이 대대로 벼슬을 하였으며, 후
에 진주 류씨가 부자로 살았으나 지금은 다 떠나고 당시 살았던 집만 남아있다.
6)
지 명
새터 : 학다리 옆에 새로된 마을
영인산 : 마을 서쪽에 있는 해발 364m의 산으로 수십리에 걸쳐 산세가 어우러져 명산으로
알려져 있다. 1550년대에 발간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신성산으로, 1819년 발간된 신정아주
지에는 영인산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영인산이라는 이름은 그리 오래된 것이 아닌
듯 하나 그어원은 고래 6대 임금인 성종 9년 이후
이라는 별호가 있었던 것에 기인한
듯 천년이 넘는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산정상에는 기우제를 지내던 용샘이 있고 삼한시대
에 축성된 것으로 보이는 고성이 돌이 있는데 북쪽에 있는 성은 신성산성 남쪽의의 성은 평
택사람들이 피난하여 지었다 하여 평택성이라고 한다.
동림산 : 옛 문헌에는 현 남쪽 7리에 이다고 하였는데 봉우리에 동석이 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엿보기 산으로 추정되며 지금은 쓰지 않는 지명으로 지금의 삼투봉을 일컫는 말이 아
닌가 함.
동심산 : 영인중학교 위 절골 뒷산으로 옛날에 오래된 절터의흔적이 있으나 지금은 찾을 길
이 없으며, 공민왕의 태를 모신 연석이 있었다. 후에 공민왕이 금산으로 옮겨 갔다고 전해
유 산 : 갈마지 앞에 있는 산
숲 : 영인 저수지 초입인 아산 2리와 상성리 초입까지 수천평의 부지에 울창한 나무로 숲이
우거져 옛날에는 어린아이가 죽으면 그 숲의 나무에 매달기도 하였다 전해짐. 현재는 영인

54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