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0페이지

53페이지 본문시작

[78] 이용현
李容鉉
<1783(정조 7년) ~ 1865(고종 2년)>
조선 후기의 무신이다. 본관은 예안(禮安)으로 온양(송악면
외암리) 출신이다. 입향조 사종(嗣宗)의 9세손이고 유현(儒
賢) 외암 간(柬)의 증손이며 근주(近胄)의 아들이다. 자는 용
구(用九)이고 호는 반계(盤溪)이며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총관·경연특진관을 지냈다. 1811년 말에 평안도에서 홍경래
의 난이 일어났고 이듬해(1812년)에 그의 아버지가 총관으로
서 정주(定州)에 출진했지만 정주성이 함락되었다. 그는 전
(前) 선전관으로 아버지를 위해 자원해 출전하여 적 4명을 베
<병사댁(현재는 참봉댁)>
고 13명을 사로잡는 공을 세웠다. 이 전공으로 아버지가 패전
한 죄가 감(減)해질 수 있었다. 1843년(헌종 9) 제주목사, 1847년(헌종 13)에 전라도 수군절도사, 1851년
(철종 2) 경상좌도 병마절도사(慶尙左道兵馬節度使)로 제수되었다. 이 후 1864년(고종 1)에 우윤·좌윤을
거쳐 이듬해 경연특진관에 임명되고 동지의금부사에 제수되었다. 아산시 송악면 외암리에 그가 살던 집
의 택호가 병사댁(兵使宅)이다.
[79] 이우신
李禹臣
< ? ~ ? >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덕수(德水)로 병조참의 거( )의 증손자이며 평시서 봉사(平市署奉事) 백
록(百祿)의 손자이다. 아버지 병절교위(秉節校尉) 정(貞)과 어머니 초계(草溪) 변(卞)씨 현감 수림(守林)의
딸 사이의 4남 중 4남으로, 충무공 순신(舜臣)의 아우다. 음사로 참봉을 지냈다. 묘는 음봉 삼거리 덕수
이씨 묘역에 있다.
[80] 이의호
李義浩
<1777(정조 1년) ~ 1836(헌종 2년)>
조선 후기의 은일(隱逸)로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세종의 다
섯째 별자(別子-서자)인 광평군(廣平君) 여(璵)의 13세손이며
전주 이씨 염치 강청리 입향조이다. 통덕랑 언징(彦徵)의 증손
이고 응현(膺顯)의 손자이며 증 조봉대부 동몽교관 호중(昊中)
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안동 김씨로 광운(光運)의 딸이고 부인
은 초계(草溪) 정(鄭)씨 진황(鎭璜)의 딸이다. 자는 사성(士性),
호는 화암(華菴)이다. 어릴 때부터 성품이 순후하고 효행이 탁
이(卓異)했다. 충북 진천 백곡(栢谷)에서 출생했는데 1803년에
<이의호가 살던 집>
52

53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