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8페이지

5페이지 본문시작

때에 처음으로 제정되었다 한다
한삼
예복을 갖출 때에 손을 가리기 위하여 두루마기나 여자의 저고리 소매 끝에 흰 헝겊으로
길게 덧대는 소매를 한삼이라고 하는데 일명 백수
라고도 한다 혼례식에 신부가 입는
원삼이나 활옷에는 한삼을 사용했으며 궁중 무용에 입는 몽도리를 입은 무희들도 손에 한삼
을 착용했다
활옷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공주나 옹주의 대례복으로 입었고 상류 계급의 혼례복으로도 사용
한 활옷은 가장 아름답고 화려한 예복의 하나이다
활옷은 어원
은 화의
화의
활의
로 변음된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 활
옷은 무가 없이 옆에 트이고 앞자락이 둘 뒷자락이 하나로 되어 모두 세자락이며 앞자락은
짧고 뒷자락이 앞자락보다
정도가 더 길다 깃은 달지 않으며 고대만 박고 흰색의 동
20cm
정을 단다 다홍색 바탕에 장수
와 길복
의 뜻을 지닌 십장생
의 무늬를
=Æ¥
옷 저체에 수 놓고 등에는 이성지합
만복지원
수여산
부여해
의 글자를 수 놓으며 양 어깨에는 동자
를 수놓는다 남색 안에 넣으며 소매
끝에는 황색 홍색 남색의 색동을 달고 소매진동 아래는 튼다 혼례 때에 화판
의 금박
을 찍은 남색과 홍색의 스란치마를 겹쳐 입고 삼회장 저고리를 입은 위에 활옷을 입고 홍단
를 앞가슴 위에 띠되 뒤에는 매어 늘인다 머리는 뙈머리 첩지머리 에 비
8
녀는 용잠
을 꽂고 도투락 댕기와 앞줄댕기를 하고 칠보화관
을 쓴다
7≫
오늘날에는 신식 혼례식이 보편화되어 혼례복으로 입지 않는 활옷은 폐백복
으로
· |
활용되고 있어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당저고리
당저고리는 당적삼 당한삼 당의
라고도 부르는데 조선 시데에 여자들이 입었던 예복
의 하나이며 저고리를 입은 위에다 당저고리를 덧입었다 조선시대에 궁중에서는 평상복으
로 사용하다가 조선말기부터 소례복
으로 사용 되었는데 이때에는 가슴 등 양어깨에
흉배를 붙였다 색깔에 따라 연두당의 자주당의 남송
노랑색 당의 백당의 등이 있는데
연두당의를 가장 많이 입었다
당의의 형태는 저고리와 비슷하나 앞길과 뒷길이 저고리보다 길어서 입었을 때 무릎 근처
까지 닿고 도련은 둥근 곡선으로 되어 있다 옆은 진동선 이하가 트여 있어 앞길은 좌우 두
자락이고 뒷길은 한 자락으로 되어서 모두 세 자락이다 소매 끝에는 창호지를 속에 넣은
흰 천으로 거들지를 달았다
겨울철의 겹당의는 비단으로 지었고 여름철의 홑당의는 사
종류로 지었는데 겉은 연
두색 또는 초록색이 보통이었고 안은 다홍색 삼팔을 궁다듬이질하여 넣었으며 자주색 고름
을 달았다
스란치마
당의를 입으려면 먼저 스란치마에 저고리를 갖춰 입는다 스란치마는 입으면 발이 보이지
아니하는 폭이 넓고 긴 치마인데 단 밑에 금박을 박은 천을 덧붙였다 이것을 스란단이라고
하는데 왕비는 용의 무늬로 하고 공주와 옹주는 봉황 무늬로 하며 사대부의 여자는 꽃무늬
였다
관모
3.
머리에 스는 갓
과 망건
을 합쳐 관망
이라고 한다 관망을 갖추기 위하여
먼저 상투를 틀고 상투에 동곳을 꽂거나 상투관을 씌운 다음에 망건을 쓰고 이마 위에 풍잠
을 꽂은 후에 벼슬아치는 탕건을 쓰고 그 위에 갓을 쓴다 벼슬이 없는 선비는 탕건을 쓰지
않은 채 망건 위에 갓을 썼다
옛날 남자의 머리에 쓰던 관모
는 건
의 종류 관의 종류 사모
방한모등으
로 분류할 수 있다 신분 제도가 엄격하던 저근대사회에서는 사 농 공 상
의 직업
에 따라 또는 양반 중인 상인 천민 등의 신분에 따라 머리에 쓰는 관모도 엄격하게 규제되
어 있었다 그리고 승려
들 만이 쓰는 관모도 따로 있었다
ªı

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