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0페이지

50페이지 본문시작

간 휴직했다. 1586년 1월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 함경도 조산보 병마만호(造山堡兵馬萬戶), 녹둔도둔전
관(鹿屯島屯田官), 1589년 2월 전라도순찰사 이광(李洸)의 군관 등을 거쳐 12월에는 정읍현감이 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해인 1591년 전라좌도수군절도사로 임명되어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여수)에
부임하여 왜적 침입에 대비해서 각 진의 군비를 점검하고 거북선(龜船)을 건조하기 시작했다. 이듬해
(1592) 4월 이를 완성하고 포(砲) 시험을 한 다음 날인 4월 13일에 임진왜란이 시작되었다. 경상우수사
원균(元均)과 경상좌수사 박홍(朴泓)의 요청으로 5월 7일 옥포(玉浦)해전을 시작으로 5월 29일 사천(泗
川)해전, 6월 5일 당항포(唐項浦)해전, 6월 7일 율포(栗浦)해전, 7월 8일 학익진(鶴翼陣)으로 대승을 거둔
한산도(閑山島)대첩, 7월 10일 안골포(安骨浦)해전, 9월 1일 부산포(釜山浦)해전 등 경상도 해역에 전후 4
차례 출전해서 크고 작은 10여 회의 해전에서 모두 연전연승했다. 1593년 7월 본영을 여수에서 한산도로
옮겼으며, 8월에는 공로를 인정받아 그를 위해 새로 만든 직책인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에 임
명되었다. 이 후에도 명나라 장수들과의 갈등 속에서도 여러 차례 승리를 거두었으며 1595년 말부터
1596년까지는 전쟁이 소강 상태였으나 이 때도 그는 둔전 경작이나 소금 생산, 군비 점검 등으로 바쁜 나
날을 보냈다.
그러나 선조의 시기와 재침을 노린 일본의 계략에 말린 조정과 권율의 횡포, 원균의 모함 등으로 1597
년 1월에 파직되어 서울로 압송된 뒤 3월 4일 투옥되고 모진 고문으로 사형에 처해질 위기까지 맞았다.
판중추부사 정탁(鄭琢)이 올린 신구차(伸救箚:구명 진정서)로 4월 1일에 특사되어 도원수 권율 막하에
백의종군(白衣從軍)하게 되었다. 모진 고문으로 피폐해진 몸을 이끌고 권율이 있는 초계로 가다가 아산에
이르렀을 때 어머니의 부고를 받았으나 잠시 성복한 뒤 바로 길을 떠났다. 백의종군하던 그는 삼도수군통
제사가 된 원균이 7월 16일 칠천량(漆川梁)해전에서 궤멸당하고 대부분의 전선을 잃게 되자 8월 3일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되었다. 온 힘을 다해 전비를 재정비하였으나 겨우 12척의 배만 되찾은 상황에서
9월 16일 명량(鳴梁)해전에서 적선 330척을 맞아 33척을 격파하는 대승을 거두어 일본수군의 서해 진출
을 막아 내어 전세를 다시 역전시켰다. 10월 14일 셋째 아들 면( )이 아산에서 왜적과 싸우다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상심한 속에서도 장졸들과 피난민들을 돌보는 일에 전념했다. 이듬해인 1598년 8월 도요토
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죽자 왜군이 철군을 시작하자 이들을 섬멸하기 위해 조·명 연합함대가 출동하
여 11월 18일 밤 노량으로 진격해서 적선을 공격하기 시작하면서 노량해전이 시작되어 다음 날까지 싸운
끝에 대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그날(11월 19일-양력 12월 16일) 새벽 이순신은 독전 중에 왼쪽 가슴에 적
의 탄환을 맞고 전사했고 그의 조카 완(莞)이 끝까지 독전을 계속했다.
그는 1599년에 우의정으로 추증되었다.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宣武功臣) 1등에 녹훈되고 풍덕부원
군(豊德府院君)에 추봉되었으며 좌의정에 추증되고 충신정려가 내려졌다. 명나라 황제 신종(神宗-만력
제)도 진린(陳璘)의 보고를 받고 그에게 도독인(都督印) 등 팔사품(八賜品)을 내려 공적을 치하했으니 그
것들이 지금까지 현충사에 전해진다. 1643년(인조 21) 충무(忠武)의 시호가 추증되었고 1704년 아산 유
생 채인장 등의 발의로 1706년(숙종 32) 아산에 현충사(顯忠祠)가 세워져 그를 배향했다. 1793년(정조
17) 7월 1일 정조의 뜻으로 영의정(領議政)으로 추증, 1795년에는 역시 정조의 명에 따라《이충무공전서
(李忠武公全書)》
가 규장각 문신 윤행임(尹行恁)에 의해 편찬, 간행되었다. 여수의 충민사와 통영의 충무사·
충렬사·착량묘, 그리고 남해의 이락사·충렬사 등 남해안 각지에 그와 관련된 유적지들이 매우 많다.
그의 시신은 임시로 마지막 진영이 있던 고금도(古今島)에 모셔졌다가 12월 11일 경에 아산에 도착해서
49

50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