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0페이지

47페이지 본문시작

다. 그의 적자 3명이 윤(崙, 1541~?), 급( ), 단( , 1554~1623, 장악원정)으로 각각 윤파·급파·단파
를 형성했다. 그 중에서도 단파( 派)가 주류를 형성하여 단의 차남 쪽 후손에서 문정공 외암 이간이 태어
났다. 묘는 송악면 유곡리 느릅실 봉수산 자락의 예안 이씨 묘역에 있다.
<이사종의 묘>
<이사종 묘표>
[69] 이생인
李生寅
<1586(선조 19년) ~ 1616(광해군 8년)>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전주 이씨 아산(염치 강청리) 입향조다. 성종의 아들인 경
명군(景明君) 침( , 1489~1552)의 후손이고 창원군수 세의(世義)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창녕 성(成)씨 참
의 수익(壽益)의 딸이다. 자는 진경(震卿)이며 부인은 상산(商山) 김씨 좌의정 귀영(貴榮)의 딸이다. 1606
년(선조 39) 식년시에 진사가 되었고 1612년(광해군 4)에 왕이 성균관 유생에게 감귤을 내리고 제술시험
을 봤을 때 수석을 차지해서 바로 회시(會試-복시)를 볼 수 있는 특전을 받기도 했다. 이듬해에 성균관장
의(掌議)로서 북인 이이첨과 같은 입장에서 영창대군과 인목왕후를 비판하는 상소에 참여하였다. 이후 아
산에 들어와 우거(寓居)하게 되었으며, 문중에서는 송파공으로 부른다.
[70] 이서
李舒
<고려 중기, ? ~ ? >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아산 이씨(牙山李氏)의 문헌상의 1세조다. 아산 이씨는 경주(慶州) 이씨에서 갈라
져 나온 성씨이다. 고려 전기에 형부상서(刑部尙書) 판어사대사(判御史臺事)를 지낸 주좌(周佐, ?~1040)
를 상징적 시조(始祖)로 하고 고려 중기의 벽상공신 서(舒)를 중시조 및 문헌(족보)상의 1세조로 한다.
그는 고려 고종 때 밀성부사(密城副使)로 임명되었고 1251년(고려 고종 38)에 공을 세워 군기감(軍器監)
이 되었으며 1268년(고려 원종 9)에 판위위사사(判衛尉寺事)에 올랐다. 1258년에 최씨무신정권의 마지막
집권자 최의(崔 )를 주살하고 왕정을 복고한 무오정변(戊午政變)에서 공을 세워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
輔國) 벽상공신(壁上功臣)으로 아주백(牙州伯)에 봉해졌기 때문에 그의 후손들이 아산을 본관으로 했다.
46

47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