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0페이지

46페이지 본문시작

의 어린 아이로 토를 달아 척척 읽는 수재
였으나 아버지를 잃은 후에는 가세
가 기울어지기 시작
하여 어머님을 흡족하게 모시지 못함을 항상 고민하던 차에 어
머니가 돌아가실 때 스스로 손가락을 끊어 피를 드려 반나절이나 더 살아계시게 하였으
며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매일 같이 어머님의 무덤을 살피니 그 효성
이 극진하여
세간
의 사표
로 삼고자 현충사
에 정려
를 세웠다 순조
1
(1800) 30
때 문과에 올라 경상좌병사
에 이르렀고 헌종
3
(1837) 66
때 별세
하였다
. <
신정아주지
)....>
이은빈
이조
자는 사질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후사
건수
의 아들이다 순조조에
선전관
을 거쳐 무과에 급제하여 전라병사
를 지냈다 부친의 병환
에 금두꺼비가 약
이 된다는 의원
의 말을 듣고 겨울에 그것을 구해다가 드리니
효과
있었다
. <
조선환여승람
)>
10)
종교단체
뱀밭마을에는 불교인 백암사가 있는데 오래된 고찰은 아니며 신도수는
45
명 정도다 또
한 구묵골 마을에는 기독교인 백암감리교회가 있어 백암리 마을 뿐만 아니라 주변 마을
에서도 이 교회로 다니고 있으며 성도수는
120
명에 이른다
11)
공장현황
마을에는 충무공 이순신의 사당인 현충사가 있 뱀밭 마을은 대부분 이씨들의 집성촌이었
기 때문에 덕수 이씨들이 대부분이때문에 주위에는 공장이 들어설수 없으며 심지어 현충
사가 있어 집 보수 하는 것조차 어렵다고 한다.
12)
마을의 특성
뱀밭 마을은 대부분 이씨들의 집성촌이었기 때문에 덕수 이씨들이 대부분이 이곳에 현충
사가 자리하고 있고 송파당은 아산군 염티읍 백암리에 있었는데 처사
이덕민
( 德
이 거처
하던 곳으로 뜰에는 대나무를 심어 자연
이 울창하고 나무들이 무성
하여 그윽한 정취
가 매우 좋았다고 하지만 지금은 찾아 볼 수 없다
구묵골 마을은 마을 뒷편으로 산이 있으며 앞으로는 곡교천이 흐르고 있으며 따스한 정
이 넘치는 곳으로 이곳도 이씨 집성촌이었다.
끝뱀밭 마을은 농업보다는 기타 서비스업종에 많이 종사하고 있는 마을로서 가구가 무척
이나 적으나 아직도 서로 도와주며 살고 있는 마을로 온양온천과 인접해 있는 마을이다.

46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