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0페이지

45페이지 본문시작

이세영
이조
이충무공의 후손
대한제국의 육군정위
이다 헌병대장서리
를 역임
한 정규무관
規 官
출신
이었다 을사오조약
이후 의병
활동
을 꾀하다가 일본
헌병
에 체포
되어 종신유형
의 선고
를 받고 황주
에 유형
되었다가 만주
로 건너가서 신흥학교
의 교장
이 되어 민족정신교육
에 힘썼고 이 학교를 신흥무
관학교
로 발전
시켜 독립군
을 양성
하였다
. <
무장독립운
동비사(
이종옥
이조
이충무공의 종손
막대한 사재와 종중 재산을 독립군량자금
으로 희
하였고 자신도 독립운동
에 헌신
하다가 충무공의 후예
답게
일생을 조국에 바치였다고 한다.
이덕민
이조
자는 수도
호는 송파
본관은 용인 온양군 이북면 백암리 아산군 염티읍 백
암리 에 복거
하였는데 천성이 효성
스럽고 우애가 있었으며 자신이 유복자
로 태어나서 부친
의 얼굴을 알지 못함을 항상
통한
하여 모친의 삼
년상을 마치고 부친의 상복
을 추가
하여 삼년을 더 입었다 백형
사민
의 거처
가 초원
하였는데 매양 찾아가 뵈올 때는 지팡이를 대문
밖에
버려두고 달려 들어갔다고 한다 조용히 의리
를 연구
하고 오로지 자기
의 학문을 위하여 힘썼으며 홍만전
과 홍송곡
과 더불어 도의
로써 교
하며 왕래
하였다 송파가 졸하니 처사
조조우
가 곡
하며
다음과 같이 시를 지었다.
어머님 상기
를 마친 후 슬픔을 인하여 추복
을 했고 형님의 집 앞에서는 지팡
이를 버리고 달려 갔다네 후에 아산 인산서원에 배향되었다
. <
신정아주지
)>
이달수
이조
본관은 덕수 충민공
의 손자
이며 벼슬은 승지
를 역임
하고 가선
대부
嘉 大
로서 병사
를 지냈다
. <
신정아주지
)>
이사수
이조
본관은 덕수 충숙공
의 회손
이며 벼슬은 영장
을 지냈다
. <
신정아주지
)>
이인빈
이조
본관은 덕수 한범의 손자
이며 벼슬은 방어사
를 지냈다
. <
신정아주지
)>
이명상
이조
본관은 덕수 홍무
의 아들이며 벼슬은 가선대부
로서 병사
를 지냈
. <
신정아주지
)>
이충빈
이조
본관은 덕수 한범의 손자
이며 벼슬은 방어사
를 지냈다
. <
신정아주지
)>
이춘희
이조
본관은 덕수 의빈
의 아들이며 벼슬은 방어사
를 지냈다
. <
신정아주지
)>
이한필
이조
본관은 덕수 충민공의 아들이며 승지를 역임하고 가선대부
로서 병사
지냈다
. <
신정아주지
)>
이제빈
영조
48 (1772)
현종
3 (1837)>
본관은 덕수 홍무의 현손
영조
48 (17872)
에 아산에서 태어났다 불과 나이
5

4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