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8페이지

44페이지 본문시작

끄는 호리질이 보통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소 두 마리에 기다란 멍에를 메워 쟁기를
끌게 하는 겨리질 쌍겨리질 도 있다 우리 나라 중부 지방과 남부 지방에서는 호리
질이 일반적으로 북부 지방과 강원도 지방의 산악 지역에서는 대개 소 두 마리가
쟁기를 끄는 겨리질이 보통이다 비탈이 심하면 지면이 들쭉날쭉하여 소 한 마리의
호리질로서는 능률이 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도 논밭을 특별히 깊게 갈 때에도 결
리질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써레
논이나 밭의 바닥을 고르거나 흙덩이
. ·
을 부수는 기구를 써레라고 한다 토막나무에 둥글고 끝이 뾰족한 살을
개 정
6
10
도의 빗살처럼 나란하게 박고 위에 손잡이를 가로 대었다 또 토막나무에 대각이 되
게 앞으로 긴 나무를 박고 여기에 봇줄을 매어 소의 멍에와 연결시켜 소가 끌도록
하였다
나래
논 밭을 판판하게 고르는 농기구의 일종인데 나래는 전체 모양이
. ·
써레와 비슷하나 써레발이 업슨 대신에 한 개나 혹은
2
3
다 나래는 몸을 이루는 나무 판자 아래에 쇠날을 대었거나 함석 판 아래에 쇠날을
댄 것도 있다 나래는 소가 끌어 당기어 작업을 하며 사람
명의 노동력을 대신할
10
수 있다
〔 〕
탈곡
벼나 보리의 알곡을 떨어내는 작업을 탈곡이라고 한다
2
<
가장 원시적인 방법으로는 벼훑이 를 가지고 벼 이삭을 하나씩 훑어내는 작업인데
이것은 흔히 부녀자들이 하는 작업이었다 그러나 벼훑이 로는 대량의 탈곡 작업이
불가능하므로 체력이 건장한 남자들이 태질 이나 도리깨질 로써 작업 능률을 올렸
태질 태질이라는 것은 개상에 곡식단을 메어 쳐서 곡식을 떨어지게 하는 작
. (1)
업이다 태질할 때 쓰이는 개상 은 굵은 나무 도막이나 절구통 따위를 쓰기도 하고
서까래 같은 통나무
5
6
가장이 진 나무에 넓적한 돌을 얹어 사용하기도 한다
도리깨질 도리깨는 곡식
. (2)
의 이삭을 두드려서 알갱이를 떨어뜨리는 데에 사용하는 농기구인데
한자어로는
연가
라고도 한다 흔히 보리 밀 콩 녹두 팥 조 메밀 등의 타작에 도리깨질을 하
7
였다 도리깨의 구조는 장치
도리깨 아들
꼭두각시 등으로 나누넝 지는데 장치
', '
', '
는 기름한 막대기나 대나무를 사용하며 도리깨아들 은 닥나무와 물푸레나무 같은
단단하고 질긴 회초리
3
4
어 도리깨 아들 을 연결한다 농부들이 도리깨 장치를 번쩍 들었다 내리는 순간에
도리깨 아들 은 꼭두머리 를 중심으로 하여
의 회정을 하면서 땅 위에 놓인
360
곡식단을 내리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을 도리깨질 이라고 한다
고무래와
. (3)
넉가래 탈곡된 알곡식을 긁어 모으거나 또는 쌓인 곡식을 헤쳐 펴는 작업에는 고무
래와 넉가래가 쓰인다 고무래는 널빤지 에 구멍을 뚫고 길죽한 손잡이 막대를 박아
만든
자형의 농기구이며 넉가래는 두터운 판자를 삽 모양으로 깍아 만든 농기구
인데 가벼워서 곡식 따위를 퍼 담거나 긁어 모을 때에 사용했다 그리고 탈곡한 낟
알에 섞인 흙이나 티글 따위는 바람의 힘을 빌어 날려 보내고 깨끗한 알곡만 섬이
나 가마니에 담아 보관하였으며 바람이 불지 않는 날끼에는 풍구 라는 기구를 이용
하여 바람을 일으켜 흙과 먼지 따위를 날려 보내고 알곡만 모아 담기도 하였다
〔 〕
도정작업
벼나 보리의 겉껍질을 벗겨 내어 쌀이나 보리쌀이 되게
3
T ¥Ø
하는작업을 도정작업 또는 방아찧기 라고 한다 이작업에 사용했던 기구들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색대 색대는 섬이나 가마니 속에 든 곡식이나 소금 따위를
. (1)
찔러서 빼내어 보는 데에 쓰이는 도구인데 대통이나 쇠통의 끝을 엇비슷하게 깍아
서 만든다 태관
또는 간색대라고도 부른다
매통 매통은 벼그이 겉겨를
. (2)
벗기는 데에 사용하는 나무 매인데 굵은 통나무 두짝이 서루 닿는 마구리에 요철
로 이를 파고 위짝의 양쪽에 손잡이 막대를 기워 그것을 쥐고 이리저리 돌려서
갈도록 만든 기구이다 이러한 구조를 돌로 만든 것이 맷돌이며 나무로 만든 것이
매통이다 이 매통은 목마
라고도 부른다
절 구 절구는 곡식 따우이를 넣
. (3)
고 절구공이나 돌공이를 가지고 위에서 아래로 내려쳐서 찧게 된 속이 무룩한 기구
인데 통나무나 돌 등으로 속을 우묵하게 파내어 만든다 이 절구를 구마
라고
도 부르며 절구질하는 데에 쓰이는 절구공이는 단단한 참나무 밤나무 박달나무등
으로 길쭉하고 가운데가 잘록한 장구통 모양처럼 깍아 만들며 돌공이는 화강석이나
오석 등의 단단한 돌을 짤막한 원기둥 모양으로 깍아 구멍을 뚫어 나무 손잡이를
박아서 사용한다
디딜방아 디딜방아는 발로 디디어 곡식을 찧거나 빻는 데에
. (4)
쓰는 방아인데 매통이나 절구질보다 훨씬 능률적인 도정 기구이다
자 모양의 굵
. ' Y'
은 나무 한 끝에 공이를 박고 두 갈래진 다른 양

44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