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0페이지

44페이지 본문시작

(1812)
훈련대장
이듬해 동지중추부사
가 되었다
. <
정조실록
순조실록
)>
이정빈
이조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8
을 지냈다
. <
신정아주지
)>
이한응
숙종
) 37 (1171))
이조영조때의 무관
자는 사준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회손
훈련대장
봉상
의 조카이다 영조
28
(1752)
선전관
을 거쳐 영조
34
(1758)
경상좌도병마절도사
가 되었다 또 영조
44 (1768)
도수군통제사
를 지낸후 총무사
금위대장
어영대장
등을 역임
했다
. <
영조실록
)>
이한풍
영조
49 (1773)
순조
3 (1803))
무신
자는 계흥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후손
이다 음보
로 오위
사직
이 되어 영조
)37 (1761)
길주목사
를 거쳐 영조
44
(1768)
좌부승지
가 되었다 영조
48
(1772)
경상좌도병마절도사
로 부임
이듬해 다시 승지
로 임명
되었으며 정조
6 (1782)
함경남도병마절도사
鏡南道
정조
9 (1785)
에 우포도대장
盜大
듬해 함경북도병마절도사
를 거쳐 어영대장
이 되었다가 경
기도
京畿道
에 창궐
한 도적
을 소탕
하지 못한 책임
으로 양재역
에 유배
후에 풀려 나와 정조
15
(1791)
평안도병마절도사
로 갔고 이듬해 금위대장
에 올랐으며 정조
18
(1794)
다시 어영대장
에 전직
했으나 탄핵
을 받고 충주에 유배
되었다 정조
(1796)
좌포
도대장
盜大
에 기용
된 후 장용위대장
훈련대장
등을
거쳐 행호군
이 되었다 궁술
검법
에 특기
가 있었고 글씨를 잘
썼다
. <
영조실록
정조실록
)>
이항권
이조
헌종
(1835))
이조순조
때의 무관
자는 중구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8
다 순조 년
8
(1808)
음보
로 선전관
이 되었고 이듬해 무과
에 급제
별군직
에 뽑혀 대궐
大闕
을 숙위
했다 황해도수군절도사
道 軍
전라도 병마절도사
羅道
를 거쳐 순조
34
(1830)
삼도수군통제사
가 되고 벼슬이 어영중군별장
에 이르렀다 순조의 지우
를 받아 오랫동안 대궐
大闕
에 출입
하여도 대궐
大闕
의 일을 말한 일이 없었으
며 조정
에 나간지
30
년에 사사로운 일로 남에게 간섭
하지 않았고 여러번 군
을 다스렸으나 가는 곳마다 치적
이 있었다
. <
연천집
)>
이홍저
이조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현손
이며 벼슬은 영장
을 지냈다
. <
신정아주지
)>
이완
선조
12
(1579)
인조
5
(1627))
이조 중기
의 무관
자는 열보
시호
는 강민공
剛 公
본관은 덕
수이며 이순신
장군의 조카이다
. 20 ( )
에 충무공을 도와 싸움에 공
을 세
웠고 노량해전
에서는 충무공이 적탄에 쓰러지자 시체를 안아 방에 누이고 전사
한 사실을 알리지 않고 전쟁을 독려하여 대승을 거두었다 선조
32
(1599)
무과에 급
제하고 인조원년
(1623)
충청병마절도사
에 올라 이듬해 군사를 몰아 이
에서 이괄
의 난을 평정하고 의주부윤
으로 나갔다 모문용
의 군사들이 촌가에 나가 해를 끼침이 심하므로 이괄이 분함을 참지 못하여 곤봉으로
때린 사건으로 물의를 일으켜 한계급 강등을 받았으며 이로부터 모문용과의 사이가 좋지
못했다 정묘호란
때에 적이 의주를 포위하자 적과 싸우다가 부상하여 승산이
없으므로
국가의 군기
軍器
는 적
에게 내줄수 없다
하고 화약고
에 불을 지
르고 종제
이신
과 더불어 불에 뛰어 들어가 분사
하였다 후에 병조판서
를 추증
하고 현충사에 정문
을 세워 충의를 표하였다
. <
인조실록
인물고
여지도서
아산 현충사 사적
)>

44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