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8페이지

43페이지 본문시작

생업
¥Ø
생업
농사
우리 민족은 아득한 옛날부터 농경사회
¥Ø
) 1.
이루어 일정한 토지를 중심으로 농사를 지으며 순박한 인심속에 상부상조하는 아름
다운 민속을 이루어 왔다
농자
는 천하의 근본이라 는 생활 신념으로 부지런
히 갈고 씨뿌려 거두는 부지런한 민족성을 이어 왔다
〔 〕
농경 작업 도구
1
우리 농촌은 산업화 이전인
년대까지도 단순한 원시적 농구를 가지고
1960
노동 집약적 영농 방식을 유지해 왔다 농부의 체력에 의존하는 작업에는 소규모의
간단한 농기구를 이용했고 약간 발전된 방식으로는 소 농우 의 힘을 이용하는 방법
이 고작이었다 소 한 마리가 건장한 농부
5
었다
인력
으로 사용하는 농구 과거 우리의 저통적인 농경 사회에서는 단
. (1)
순한 농기구를 인력
으로 사용하여 농업을 계속해 왔다 그 대표적인 농구
는 다음과 같다
호미
김 매는 데에 사용하는농기구로써 앞에 뾰족하고 위는
넓적한 쇠날에 가는 목이 휘어 꼬부라지고 넘어간 데에 둥근 나무로 자루를 박았다
시우쇠로
자 모양으로 만들어 안쪽으로 날을 내고 뒤 끝 곧은 슴베에 나
무 자락을 박아 풀 나무 곡식 따위를 베는 데에 쓴다
갈퀴
마른 풀이나 나뭇
잎 검불 또는 곡식 등을 긁어 모으는데에 스는 농기구인데 여러 개의 대쪽이나 싸
리 또는 굵은 철사 드으이 끝을 갈고랑지게 휘어 그 한 끝을 부채살처럼 일매지도
록 펴서 그 중간을 가로댄 나무에 얽어매어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다른 한끝은 오므
린 뒤에 긴 자루를 붙였다
발고무래
고무리
4
6
이를 고르고 씨를 뿌린 뒤에 흙을 긁어 덮는 데에 쓰인다
괭이
땅을 파거나 제
등 여러 가지 작업에 쓰는 농기구로서 삽괭이 토란입괭이 가짓잎괭이 등
모양이 넓적한 쇠의
자와 같은괴구멍에 긴 자루를 끼운 것이다
쇠스랑
땅을
. ·
파헤쳐 흙을 고르거나 두엄 풀무덤 등을 쳐 내는데에 쓰는 갈퀴 모양의 농기구이
다 서너 개의 쇠꼬챙이로 발을 만들고 긴 나무 자루를 박은 것인데 철탑
라고 부른다
곡괭이
굳고 단단한 땅을 파는 데에 사용하는 괭이의 일종이다
. ·
. ·
논에 물꼬를 트거나 막을 때에 쓰는 농기구의 일종인데 폭
길이
12cm,
14cm
가량 되는 쇗조각의 머리쪽 가운데에 괴통이 비죽히 내밀어 붙은 네모진 삽이다 흔
히 노인들이 논에 나갈 때 지팡이 대신 짚고 다니기도 한다
땅을 파고 흙
. ·
따위를 뜨는 데 쓰는 농기구로서 모양이 보습과 비슷하고 나무 자루가 달렸다
. ·
흙을 파헤치거나 떠서 던지는 농구인데 날을 끼운 넓죽한 몸에 긴 자루를 박
고 몸 양편에 구멍을 뚫고 가랫줄을 매어 한 사람이 가랫자루를 잡고 흙을 떠서 밀
면 두 사람 이상이 가랫줄을 끌어 당겨 흙을 목표점에 던진다 줄이 길이는 용도에
따라 조절한다
잿박
농가에서 거름으로 쓸 재를 담는 그릇인데 짚이나 댕댕이
. ·
덩굴 또는 사리나무 대나무 등으로 엮어 만든다
귀때동이
귀때동이는 농가에서
. ·
오줌이나 인분을 담아 장군에 담아 부을 때 사용하는 그릇인데 흔히 오줌동이 라고
부른다
귀때 라는 것은 액체를 담는 그릇의 부리인데 그곳으로 무릉
따르도록
되어 잇다 그러므로 귀때그릇 귀때항아리 등의 그릇이 있다
두레와 용두레
. ·
灌漑
시설이 거의원시적이었던 옛날에는 두레와 용두레를 이용했다 두레는 낮은
곳에 있는 물을 높은 곳의 논이나 밭에 퍼 붓는 기구인데 가벼운 오동나무나 그밖
의 나무로 위를 넓게 퍼지고 밑바닥은 몹시 좁게 만들어 네 귀에 줄을 달아 사람이
물을 퍼올린다 그런데 용두레는 석가래
3
러박을 매달아 손잡이를 쥐고 물을 퍼 올린다
소의 힘을 이용하는 농기구 우리
. (2)
나라는
년대까지는 전근대적 영농 방식으로 노동 집약적인 원시적 농업 형태였
1960
다 농민의 농동력이 생산 수단이었고 여기에 소 한우 가 작업 능률을 놓이는 유일
한 수단이었다 소 한우 를 이용하여 쟁기질 써레질 나래질 시태질 등 많은 작업
을 할 수 있었다 소를 이용하는 농사 작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쟁기 극젱이
. ·
논밭을 가는데에 사용하는 농구로서 쟁기와 극젱이를 사용했다 쟁기는 소나무나 참
나무 등으로 몸체를 만들고 술 끝에 보습을 끼우고 그 위에다 볏을 덧댄다 극젱이
는 쟁기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주로 밭을 가는 데에 쓰인다 그젱이는 쟁기로 갈아
놓은 논밭에 골을 타거나 또는 돌이 많은 밭을 쟁기로 깊게 갈 수 없을 때에 얕게
갈기 위해 쓰인다 극젱이는 보습은 있으나 볏이 없고 소 한 마리가 끌거나 또는 사
람이 지게를 지고 끌어 매어 극젱이를 끌어 밭갈이를 한다 쟁기질은 소 한 마리가

43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