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0페이지

43페이지 본문시작

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후 행병조정랑
으로 선조실록
을 편찬에 참
가하였다 명나라에 갔다가 쾌
의 반열
이 전두
에 있는 것을 보고 한탄하기
( ),
석경중
의 논
이 땅으로 들어 갔다고 하였다
그는 성현
의 글을 널리 탐독
한 외에 음악
음율
과 산수
에도 매우 밝았다
저서
로 가례박해
방례편
이 있다
. <
선조실록
국조인물
)>
이 우신
이조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아우이다 벼슬은 참봉을 지냈으며 행의
로 명망
높았다
. <
신정아주지
)>
이 훈(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아들이다 이조
의 란
에서 싸우다가 순절
하니 정
조시
에 병조참의
를 추증
하였다
. <
조선환여승람
)>
이신
이조
인조
5
(1627)>
본관은 덕수 훈의 아우이다 정묘호란
에 종형
을 따라 의주에서 힘껏 싸
우다가 함께 순절
하니 정조시
에 병조참의
를 추증
하였다
<
)>
이회(
자는 무백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장자이다 선조
31
(1598)
노량해전
에서 큰 공훈
을 세웠다 그후 임실
고을의 원이 되어 치적
이 청간
했다는 칭송
을 받았으며 관은 검정
에 이르고 원종공신
에 책록
되어 좌승지
에 추증
되었다
. <
신정아주지
l>
이한범
이조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6
로서 부사
를 지냈다 신정
.<
아주지(
)>
이득수
이조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7
로서 부사
를 지냈
. <
신정아주지
)>
이서빈
이조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8
. <
신정아주지
)>
이광진
이조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증손
이며 벼슬은 수사
를 지냈다 신정아주지
.<
)>
이민수
이조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7
를 지냈다
. <
신정아주지
)>
이언상
이조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5
를 지냈다
. <
신정아주지
)>
이의수
이조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7
를 지냈다
. <
신정아주지
)>
이인수
영조
13
(1737)
순조
13 (1813))
무신 자는 성빈
본관은 덕수 이충무공의 후손
어영대장
한응
의 아들이다 정조
8
(1784)
경상좌도
병마절도사
가 되어 순조
(1801)
삼도수군통제사
를 거쳐 총무사
좌우총도대장
盜大
금위대장
禁 大
등을 역임
하고 순조
) 12

43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