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28페이지

424페이지 본문시작

의 고향에서 민족의식을 일깨운 허경이 독립협회가 활동한 독립관의 학교를 찾아 학업을

남,
이은 것이다. 민족의식의 맥락이 허경의 학업 과정에서도 묻어나오고 있었다. 경성실업학


교를졸업한허경이일본유학의문을두드린것은20세이던1937년2월이었다.학교는교


토중학교로 1937년 4월에 입학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7월 방학을 맞이하여 귀국하였다.


이때부터허경은독립운동에참여하게되었다.


독립운동의 사실은 이랬다. 당시 송길한(宋吉漢)이라는 학생이 있었는데, 출신지는 홍

5
성군고도면(高道面,현갈산면)이었다.그는1933년갈산공립보통학교를졸업하고일본
유학의 길을 떠났다. 그리고 애지현의 뇌호시(瀨戶市) 소학교를 거쳐, 1934년 나고야(名
古屋) 형영(亨榮) 상업학교 2학년에 입학하였다. 1936년에는 교토 양양(兩洋)중학교 4
학년에전학하였고,1937년에중도퇴학하였다.중요한점은송길한이나고야에있을때,
424
민족의식과 독립정신에 심취해 있었다는 사실이다. 즉, 송길한은 같은 하숙생이었던 정문
용(鄭文容)에게서사회주의(공산주의)사상과함께독립사상을지도받게되었다.그리고
사회주의 사회의 건설을 목적으로 그는 중국 상해로의 망명을 계획하였다. 하지만, 중일
전쟁이발발함에따라그의계획은무위로돌아갔고,부득이하게1937년6월18일고향으
로돌아오게되었다.
송길한은 귀향 후인 1937년 7월 중순부터 8월 하순까지 고도면에서 신안서당(新安書
堂)교사를하던박영달(朴英達,1916~미상,2018년애족장)과가깝게지냈다.그는박영
달에게사회주의사상에입각한민족해방이라는신사상을설명하여큰공감을얻었다.이
에 박영달은 8월부터 서당의 학생들에게 창가(唱歌)를 가르치거나 옛날이야기를 들려주
면서한글을가르치고민족의식을고취했다.
송길한이허경을찾아온것은1937년7월23일경이었다.두사람은일본나고야에있을
때부터 친교를 맺은 친구 사이였다. 허경은 자신의 집을 찾아온 송길한과 함께 식민지 조
선의사회제도모순에대하여논의하였고,이를극복하기위해“이러한모순인사회상태
를타파하고진실로서자유평등한인류애(人類愛)의공산주의사회를실현하기위해활
동해야 함은 우리 청년의 책무”라는 점에 공감하고, 이를 다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할 것
을합의하였다.
허경이반대로송길한을찾은것은한달뒤인8월23일이었다.허경은송길한과함께시

424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