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0페이지

42페이지 본문시작

이 제빈님은 이 말을 듣고 앉아 있을 수 없었던지 바깥으로 뛰어나와 부엌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칼과 사발을 들고 부인방으로 들어갔다 부인은 한편으로는 놀라움과 두려움에 가
슴을 떨었지만 남편의 효성에 감동의 눈물을 흘렸다 이제빈님은 굳은 결심을 한 듯 손가
락을 잘라 사발에 피를 받았다 아픔도 고통도 잊고 오직 어머님을 살려야겠다는 일념으
로 숨이 가빠진 어머님께 급히 피를 마시게 하니 어머님께선 기운을 회복한 듯 반나절이
나마 더 사셨다 한다 어머니께서 돌아가지사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하루도 거르지 않고
어머님 무덤을 살피고 곡을 하니 그 효성이 지극하여 이를 세상의 사표로 정려를 세웠다.
벼슬로는
1801 (
년 순조
1 )
1832 (
년 현종
3
년 세상을 하직하셨다 그때가 향년
66
세이셨다
8)
전통놀이 및 대표적 집단행사
뱀밭 마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계로는 일상계라 해서 초상이 나면 도와주고 쌀 한가마
를 주었는데 요즘은 돈으로 대신 준다고 한다 또한 현재까지 산신제를 지내고 있었는데
산신제는 방화산에서 정월 초사흘날에 지내고 동네에 부정한 일이 생기면 일주일 후에
다시 지낸다고 한다 산신제뿐만 아니라 시월 열나흘에는 이 충무공 장인 장모인 방씨 부
부의 제사를 지내주고 있다 구묵골 마을에서는 여러개의 계모임이 있었으나 돈계로 통합
되어 이루어지고 있고 산제사는 지내고 있지는 않지만 신만휴라는 사람이 마을에 땅을
기증하여 그 대신에 그 사람을 위해 한식날 제사를 올리고 있었다.
끝뱀밭 마을에서는 특별하게 행하여지고 있는 놀이나 제례행사는 없었다.
9)
특별하게 소개할 만한 인물
마을에서 소개할 만한 인물이라면 나라를 위해 목숨 바쳐 싸운 영웅 이순신 장군을 빼
놓을 수 없을 것이다 이분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며 또한 이순신 장군과 관련된 자손
들도 같이 소개 한다.
이순신
이순신은
1545 (
년 인종 년
1 )-1598(
선조
31 )
년 의 삶을 영위한 조선 중기의 명장으로서 본관
은 덕수 자는 여해 아버지는 정 어머니는 수림의 딸인 초계변씨이다 서울 건천동 지
금의 중구 인현동 부근 에서 출생했으며 그의 가계는 고려때 중랑장을 지낸 이 돈수로부
터 내려오는 문반의 가문으로 이순신은 그의
12
대손이 된다
. 1576 (
년 선조
9 )
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권지훈련원 봉사로 처음 관직에 나가게 되었다 이후 동구비보권
관 발포수군만호 건원보권관 훈련원찬군 시복시주를 거쳐 녹도둔전사의가 되었는데 이
때 호인의 침입을 받고 적은 군사로 용맹하게 싸웠으나 도저히 막을 수 없어 피신을 하
게 되는데 조정에서 그것이 오로지 이순신의 죄라 하여 처형을 하려 했으나 그의 정당함
을 헤아려 끝내는 중형으로 백의종군을 하기도 했다
. 47
세 되던 해에 전라도 수군절도사
가 되어 옥포대첩을 승리로 이끌고 학익진으로 유명한 한산대첩에서도 승리로 이끌게 된
다 그리고
1598
년 노량해전에서 적탄에 맞아 최후를 마쳤다 그의 묘소는 아산시 음봉면
어리산에 있으며 현충사에서 제향하고 있다
이 열
자는 자흥이요 본관은 덕수이며 충무공 순신의 아들이다 선조때에 음사로 벼슬에 나아
갔다가 광해군 때에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인조반정으로 처음에는 충훈부 도
사가 되었다가 형조 정랑이 되었다 집안에 비자가 있었는데 얼굴이 매우 아름다웠다 광
해군이 그 비자를 취하고자 명령을 내렸으나 신자의 도리로서 임금에게 미색을 비치는
것은 불충이 된다하여 죽음을 각오하고 바치지 않았다.
이한술(
본관은 덕수이며 충무공 순신의 후손인데 진사에 급제했다.
이분
명종
21(1566 )
광해군
11 (1619))
자는 형보
호는 묵헌
본관은 덕수 의신의 아들 정술
의 문인
이충무
공의 질
이다 임진외란시 질부 충무공이 통제사로 있을 때 분이 군중에 있으면서 독
를 게을리 하지 않으므로 충무공이 군중문서
를 일임하였다 명의 구원
병이 온 뒤에 분이 접대
를 민첩하게 하고 응답
을 사리에 맞게 하자 양진장사
가 모두 영복
하였다 선조
36
(1603)
사마시
에 합격 학행으로
천거
되어 왕자사전
이 되었다가 공조좌랑
을 지내고 서장관

42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