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39페이지

4페이지 본문시작

일 러 두 기
1. 표제어
1-1. 선정 범위
공시적으로 현대에 쓰이는 여러 형태의 예산말을 선정하였다. 통시적으로는 표준
말 보급이 일반화되기 전인 1960대 이전의 말을 포함하였으며, 발생적 범주로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와 일상어, 속어를 포함하였다.
1-2. 배열 순서
자음과 모음의 순서에 따르되, 이중모음 ‘?[j?]’는 ‘ㅣ’의 뒤에 두었다. 자모가 같은
말의 차례는 고유어→한자어→외래어 순으로 하였으며, 동음이의어의 경우 짧은
소리를 앞에 두고 긴 소리를 뒤에 배열하였다.
1-3. 주표제어
원칙적으로 단일어 및 합성어, 파생어의 단어와 조사, 어미, 접사 따위의 형식형태
소를주표제어로삼되, 표준말과다른특수한예산말의어구는일부표제어로삼았다.
1-4. 표제어인 예산말에 대응하는 표준말은 표제어 뒤에 ??로 나타내었다.
예) 가찹다[-따] ?? 가깝다
1-5. 표제어는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글자의 크기와 굵기를 달리 하였다.
예) 구럭 ?? 망태기
1-6. 소리값이 표준어 발음인 ‘ㅓ’와 방언 발음 ‘ㅡ’가 함께 쓰이는 경우엔 ‘ㅡ’를 가진 어
휘를 방언으로 싣고, ??으로 함께 쓰이는 어휘를 표시했다.
예) 으즌 ?? 어전(御前) ?? …… ?? 어전
으즐 ?? 어절(語節) ?? …… ?? 어절
으촌 ?? 어촌(漁村) ?? …… ?? 어촌
2. 맞춤법과 발음
2-1. 맞춤법은 소리나는 대로 표기하여 예산말의 발음값이 잘 드러나도록 함을 원칙으
로 하되, 형태소의 구분이 뚜렷한 경우엔 표준어법에 맞도록 하였다.
4 충청남도 예산말사전

4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