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8페이지

4페이지 본문시작

자 한다
저고리
저고리의 종류에는 속저고리 깨끼저고리 물겹저고리
반회장저고리 삼회장 저고리 솜저고
리 색동저고리 까치저고리 누비저고리 등이 있으며 옷감은 계절에 따라 마
등 다양하게 사용하였고 색깔은 흰색과 옥색을 많이 애용하였다 특히 저고리의 자주색 고
름과 댕기는 부부 해로
를 의미하고 남끝 동은 아들이 있음을 나타낸다
저고리의 각 부분에 대한 명칭을 살펴보면 길 진동 소매 섶 깃 동정 수구 도련 배
래기 고대 고름 등으로 부르는 여러 가지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한국 여성의 맵씨를
잘 나타내도록 아름다운 곡선미를 지니고 있다
회장 저고리
보통의 저고리보다 좀더 미적인 꾸밈으로 더욱 젊고 화사한 저고리가 있다 여자의 저고
리 깃 끝동 겨드랑이 고름 따위에 색헝겊으로 꾸미는 것은 회장
이라고 하며 삼회장
저고리와 반회장 저고리를 회장 저고리라고 총칭한다 저고리의 깃 끝동 고름만을 자주색
이나 남색의 헝겊으로 대어 꾸민 것을 반회장 저고리라 하고 깃 끝동 겨드랑이 소매부리
고름에 자색이나 남색의 헝겊으로 이어 꾸민 저고리를 삼회장 저고리라고 한다
색동 저고리
오색 비단 조각을 잇대어서 만든 저고리의 소맷길을 색동 이라고 하는데 이 색동 저고리
는 주로 어린 아이들이 입었다 이 색동저고리를 까치 저고리 라고도 불렀으며 어린 아이들
은 때때옷 꼬까옷 곱개옷 등으로 불렀으며 명절 때가 되면 이 색동옷을 곱게 입고 자랑스
' · '
' · '
럽게 뛰어 놀며 기뻐하였다
〔 〕
외출복
2
조선 시대의 여인들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외출을 할 수 없었고 외출을 할 경우에는
가마를 타고 같으며 가마를 탈 수 없는 경우에는 머리에서 얼굴과 몸매를 덮어 가리우는 기
다란 가리개옷을 입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장옷과 천의
였다 여인들이 외출복을 입
은 모습은 다음과 같다
장옷
옛날에 부녀자들이 나들이 할 때 머리에서부터 내리써 온 몸을 가리던 옷을 장옷이라고
한다 생김새는 두루마기와 비슷하며 초록색 바탕에 흰 끝동을 달았다 젊은 여자는 청색
녹색 황색을 많이 쓰고 늙은 여자는 흰색 계통을 사용했는데 장의
라고도 했다 장옷
을 입는 목적은 남녀 유별이라는 내외법
에 따라 얼굴과 몸매를 남자들에게 보이지
않게 하려고 여자들이 착용했는데 우리 속담에 장옷 입고 엿 먹기 라는 말이 있다 겉으로
점잖고 얌전한 체하지만 뒤로는 좋지 못한 짓을 한다는 뜻이다 그만큼 장옷은 형식적이고
비활동적인 복식이었다
천의
천의는 처네 또는 머리 처네 라고도 부르는데 여자가 나들이 할 때에 장옷과 같이 머리
에 쓰는 물건이다 마치 두렁치마와 비슷하며 자주 빛깔의 헝겊으로 만들었다
〔 〕
예복
3
여자의 예복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원삼
이다
신분의 상하를 막론하고 혼례식에는 신부의 대례복으로 원삼을 입었고 상류계층의 여자 대
례복으로 활옷을 입기도 했으며 궁중에서 소례복으로 사용하던 당의
는 사대부
의 부녀자들도 입었는데 이들 예복의 제도는 다음과같다
원삼
원삼은 여자의 대례복
인데 신분에 따라 그 색과 문양을 달리했다 원삼은 왕비
5:|
빈궁 공주 옹주 내명부 외명부 등이 입는데 그 문양과 색깔이 달랐으며 다만 서민층의 여자
는 혼례식에만 입을 수 있는 신부의 예복으로 허용되었다 원삼은 입기 전에 먼저 청홍상
에다 저고리를 입고 머리에 첩지를 꽂는다 청홍상은 청색 또는 남색 치마를 입은
위에 다시 빨강색 치마를 겹쳐 입는 것을 말한다 원삼은 신라 문무왕
4

4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