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85페이지

37페이지 본문시작

◎ 교궁보폐기
교궁보폐기(校宮補弊記)는 1894년 정창현(鄭暢鉉記)이 쓴 글을 새겨 걸어놓은
기문이다. 기문에는 은진향교의 재정이 어려워지자 유림들이 발의하여 군민들에게서
비용을 가두려고 할 때에 군수인 이명우가 백성들의 생활을 염려하여 거두는 비용을
줄이고 대신 관아에서 비용을 대어주고 그 비용의 사용에 관한 절목을 작성한 경위를
기록하고 있다. 보폐기의 뒤에는 1893년 논산군수 이명우와 유림이 함께 쓴 글과
1894년 김봉구 등이 쓴 절목이 이어서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당시 지방재정을
사용하는 기준을 파악할 수 있는 귀한 자료가 된다.
<원문>
校宮補弊記
聖上卽位之二十九年癸巳 璿派李侯來?玆邑 下車初謁聖于校宮 奉審難保之勢
非止一再 慨然講究其所以矯?之策 俯循春洞布中 每戶五分式可斂補弊之儒狀
減其三而許其二焉者 蓋民情亦不可不念也 然而此不足以完補破裂 故自官特捐
二百五十兩 序其事成節目 下帖于齋任 以爲永久遵行之計 ?歟盛哉 楊萬里之以
誠名齋 王義方之講經行禮 復睹於今日則 文翁之儒化蜀郡 韋丹之興學容州 豈獨
專美於古昔哉 嗚呼 世衰道微 聖學?蕪 邪說之橫流 甚於洪水猛獸則 ?此時 有
能衛道斥邪 自任以天下之憂者 蓋鮮其人 若以此擧 歸之尋常善政 非但不知我侯
편액과 기문
37

37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