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0페이지

38페이지 본문시작

가지로 사화로 인한 혼란을 피해 과천에서 은거지를 찾
아 아산현(영인면 성내리)으로 와서 살게 되었다. 뒤에
가선대부 호조참판으로 추증되었고 계소(繼蘇)·윤소(胤
蘇)·응소(應蘇) 등의 자손을 두었다. 묘는 평택 진위의
소(蘇)씨 종산에 있었는데 단기 4315년(서기 1982년)에
현재의 자리인 아산 음봉 후천동 종산(宗山)에 이전하였
다. 현재는 문중에서 영인면 성내리 안골에 숭모재(崇慕
齋)를 짓고 휘(煇)부터 거인(居仁) 이후 후손들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영인 성내리 순흥안씨 재실>
[52] 안범
安範
<1557(명종 12) ~ 1632(인조 10)>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문숙공(文肅公) 숭선(崇善)의 후손이며 순흥 안씨 신창 지
역(궁화리) 입향조인 수인(守仁)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강
진 김씨이며 부인은 고성(固城) 김씨 호군(護軍) 여걸(女
傑)의 딸이다. 자(字)는 언의(彦義)이다. 1597년 정유 무
과에 합격하여 여러 관직을 거친 뒤 부사(府使)에 오르고
광해군 때 가선대부(종2품) 동지중추부사 오위장에 이르
렀다. 예종(禮宗)과 효종(孝宗) 두 아들과 네 딸을 두었다.
76세에 졸하였다. 묘는 아버지의 묘가 있는 신창면 궁화
리 궁동 국수산(國秀山)에 있다. 진사 이제신(李濟臣)이
음기(陰記)를 짓고 증손 일관(日觀)이 쓴 묘비가 있다.
<안범의 묘비 비문 일부>
[53] 안수남
安壽男
< ? ~ ? >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문숙공(文肅公) 숭선(崇善)의 후손으로 순흥(順興) 안(安)씨 영인 지역(성내리) 입
향조 거인(居仁)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과의교위(果毅校尉-종5품 무관계)를 지낸 윤소(胤蘇)이고 어머니
는 나주(羅州) 박(朴)씨이다. 자(字)는 군노(君老)이고 부인은 남양(南陽) 홍(洪)씨이다. 임진왜란 때 충무
공 이순신 장군의 휘하에서 활약하며 공을 세웠고 후에 가선대부 호조참판에 증직되었다. 묘는 아산 음봉
탄동(炭洞-음봉면 신수리 숫골) 보두막산(保頭幕山)에 있다. 영인면 성내리 안골 숭모재(崇慕齋)에 그의
위패도 봉안했다.
37

38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