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7페이지

36페이지 본문시작

세종대왕은 안질 치료차 왕
15 (1433 ) 1
월에 온양온천에 행행 하였다가 완치가 되지 않았던지 다
시 청주의 수정으로 행행하였다 그 후에도
22 (1440 ) 3
월과
24 (1442 ) 3
월에 또 온양에 행차
하였다 이 때에 온수현 을 온양군 으로 승격시켰다
??? 2)
세조대왕 및 왕후의 온행
세조
11
3
1
4
솟아오르므로 왕이 그곳을 파게했더니 맑고 차가운 물이 콸콸 솟아 나왔다 이에 왕은 더운 온천수가
솟아 나오는 온정 옆에서 차가운 물이 솟는 것은 신기한 일이라 여겨서 그 샘을 신정이라 하였으며 이
것이 상서로운 길조라 하여 전국팔도의 수령 방백들은 치하하는 표문을 왕께 올렸다 세조는 이 전후
사실을 임원준으로 하여금 기록하게 하여 주필신정비 라 제하고 비석에 새겨서 기념하게 하였으니 이
것이 지금의 온양관광호텔 구내에 보존된 신정비 이다
이에 앞서 세조
5 (1459 )
년 에 아산현을 폐읍하여 온양군 신창현 평택현 등 세 고을에 분속 시킨
일이 있었는데 아산출신 판중추부사 김구 등이 아산현을 복구해 줄 것을 누차 건의했으나 왕은 좀체로
윤허하지 않았다 마침 왕이 온양온천에 행행하는 기회를 이용하여 아산현 복구를 신소하였더니 왕은
좌우에 따라붙는 행신들을 보내어 현지조사를 하게 한 다음에 아산현을 복구시켰다.
세조
14 (1468 )
년 에는 왕과 왕비 정희왕후 윤씨 가 동행하여 온천에 다녀갔고 이해
9
환으로 붕어 하였다 전하는 이야기로는 세조는 불치의 악성피부병 때문에 온천행행을 자주 했지만 완
치하지 못했고 마침내 그 병 때문에 붕어 했다고 한다
세조의 뒤를 이은 예종도 재위
1
7 (
12 , 1476 ) 2
월에는 세조의 왕비와 덕종의 왕비 소혜왕후 한씨 가 함게 온양온천에 가행했다 정희왕후 윤씨가
7
만에 온천에 행차하여 보니 신정은 변함이 없었는데 세조
11
년에 세운 신정비는
11
년의 세월이 흐르
는 동안에 풍마우세하여 각자가 많이 훼손되어 있었다 이것을 본 정희왕후는 세조대왕을 추모하는 마
음이 더욱 간절해져서 즉시 신정비를 중각하도록 명하여 월산대군 덕원군 정현조 등이 공사를 주관하
고 임원준이 지은 주필신정비 를 이숙감의 글씨로 중각하여 공사를 완료하니 이 때가 성종
7
3
었다.
??? 3)
현종대왕 및 왕후의 온행
조선역대의 군왕 중에 온양온천을 가장 좋아한 분이 현종이었으니 모두
5
에 온양에서 과거를 실시하여 인재를 선발하였고 대신들로 하여금 초야에 묻혀 있는 숨은 인재를 추천
하게 하는 한편 효자와 열녀를 찾아내어 포상하였다
현종
6 (1665 )
년 에 왕이 온행하여 과거를 시행하였는데 여기서 문과
7
200
인을 선발하였
으며 대신 이경석의 추천에 의하여 온양지방의 숨은 인재였던 조이후에게는 교관을 특제하고 조이중에
게는 침랑 벼슬을 특배하였다 그리고 효자로 이름난 향현 조상우의 정려를 명하였으며 또 군내의 선비
들이 윤대형을 가행순효 로써 추천하니 두직참봉을 특제했다
그 다음 해인 현종
7
5 ,
90
인을 선발 하였으며 다음 해 현종
8
자전이신 인현왕후 장씨 효종의 왕후 를 모시고 온행하였고 또 현종
9
마지막으로는 현종
10 (1669 ) 3
월에 자전이신 인현왕후 장씨와 중궁전인 명성왕후 김씨 현종의 왕
비 와 함께 온행하였다 이 기회를 이용하여 향유 이지강은 현종에게 상소하여 아산지방의 네 효자와
열녀 한 명을 표창해 주기를 제의하니 이를 윤허하여 효자 김효일과 권대평에게는 의금부도사 를 증직
하고 홍절에게는 호조좌랑 을 증직하였으며 이덕민은 인산서원에 배향하게 했다 그리고 병자호란 때

36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