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9페이지

351페이지 본문시작

특히 백제가 공주로 도읍을 옮긴 5세기 말 이후, 내포 지방은
조선 후기에 이르러 내포 지방 사족 집단의 구성과 농업 경영
중국 문화의 초입지(初入地)로서 새로운 문물을 도입한 선진적
의 사회적 변천 등으로 보아서, 이 지방은 개방적이고 진취적인
인 문화 지역이었다. 삼국시대에 백제와 중국을 연결하던 항로
성향을 민중의 입장에서 크게 걸림이 없이 수용하고 이를 생활
가 어디였는지에 대해서는 기록의 미비로 정확히 확인할 수 없
화하였다. 이러한 측면은 이 지역의 실학적 학풍과 천주교의 수
으나, 현존하는 태안 백화산 태을암에 있는 태안마애삼존불, 서
용에서 찾을 수 있다. 조선 후기의 역사에서 대개 17세기 말부
산 운산의 용현계곡에 있는 서산마애삼존불, 예산 화전리의 사
터 19세기 초까지의 실용적이고 실질적인 학풍인 실학은 당시
면석불입상 등은 이 지역이 중국 선진 문물이 수입되는 경로였
의 시대적 풍조로는 진취적인 성향이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음을 대변해 준다. 이들 내포 지역의 마애불은 모두 사람 키 이
근기(近畿) 남인 학자들이 선도했던 실학 운동은 내포 지방에
상의 크기를 가진 거대한 규모의 불상들로써 당시 이러한 규모
서도 전개되었다. 여주이씨(驪州李氏) 성호(星湖) 이익(李瀷,
의 불상 제작은 백제의 수도가 있던 공주나 부여 어디에서도 이
1681~1763)의 족질(族姪)들이 덕산 지방(현 고덕면 상장리)에
루어지지 않았다. 실제로 백제 문화의 중심지는 백제 해상 세력
많이 살았는데, 이병휴·이용휴·이가환 등이 대표적 인물이다.
[그림4]태안마애삼존불
의 근거지였던 내포 지역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익의 조카이자 문인인 이병휴(1710~1777)는 이른바 성호좌
[그림6]예산사면석불
백제가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게 멸망당했을 때에도 내포
파(星湖左派)의 수장이다. 이병휴와 이용후의 실학은 천주교를
지방을 근거지로 하여 백제 부흥 운동을 일으켰는데, 임존성(任
신봉했던 이가환과 외손인 이승훈 등에게 전수되었다. 이 같은
存城)은 흑치상지(黑齒常之)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백제 부
내포 지방의 실학풍은 개방 성향을 가진 이 지역에서나 가능하
흥 운동의 대표적인 근거지였고, 또한 부흥 운동의 정신적 지주
였던 것이다.
였던 도침(道琛, ?~661)은 수덕사 승려로 추측되고 있다.
성리학을 이념으로 하는 조선 사회에서 모든 생활이 유학의
백제를 멸망시킨 신라는 내포 지역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이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았고, 하층 구조의 민중들도 대체로 사족
지역 민심을 수습하기 위하여 서산마애삼존불이 있는 상왕산
의 생활 관습을 벗어나지 않았던 당시 사회에서 천주교 수용은
계곡에 보원사를 크게 중창해 짓고 화엄종찰로 삼아 이곳 불교
이단(異端)이면서도 파격적인 것이었다.
를 장악해 갔다. 그러나 이곳 백성들의 반신라적인 감정은 더욱
호서 지역에 천주교가 알려진 것은 한국천주교회가 창설
골이 깊어갔다. 이곳에서는 통일신라 왕조의 주도 이념이었던
된 바로 직후, 늦어도 1785년 무렵이었다. 내포 출신으로 한
[그림5]서산마애삼존불
화엄종에서 벗어나 새로운 지도 이념으로 새 사회를 건설해 가
국천주교회의 창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던 이존창(李存昌,
려는 신사조 운동이 맨 먼저 일어나게 된다. 이때 앞장선 인물이
1759~1801)이 내포(현 예산군 신암면 신종리)로 다시 돌아와
우리나라 최초의 선문인 가지산문의 실질적 개산조 보조선사
서 전교 활동을 시작하였다. 서울에 이어 그 다음으로 내포에 천
체징(體澄, 804~880)으로 그는 가야산 보원사 계단에서 계(戒)
주교가 수용된 것이다. 내포에 자리 잡게 된 천주교는 서울과 다
를 받은 내포 출신 인물이고, 성주산에서는 낭혜화상이 성주산
른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어 나갔다. 서울과 같이 양반 · 중인
문을 개설하였다.
층이 주도한 것이 아니라, 내포 지역에서는 일반 양인(良人)이
7.내포의뿌리,예산의비전
351
350
내포의뿌리예산학

351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