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9페이지

345페이지 본문시작

上葛里
14
31
61
上乫里
바로 이곳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19세기의 『동국여도』와 현재 지도인 [그림 1]과 같이
上下里
下葛里
23
24
53
下乫里
삽교읍 하포리에 ‘내포’라는 지명이 확인된다.
驛上里
35
56
105
둘째, 내포가 아산만을 중심으로 한 수역으로 사용되기도 하였고, 그리고 더 넓은 지역을
驛中里
81
122
113
驛里
의미하는 용어로 일찍이 고려시대부터 사용되고 있었다. 『고려사(高麗史)』에서는 내포라
驛下里
29
43
32
는 용어가 다음과 같이 여러 곳에서 확인된다.
坪里
42
66
90
坪村里
大鳥旨面
城山里
75
210
129
城山
城里
정유(丁酉)에 전라도도순어사(全羅道都巡禦使) 김횡(金?)이 조선(漕船)으로 내포(內浦)
(?)洞里
60
79
125
?
에이르러왜와싸워대패(大敗)하여사자(死者)가태반(太半)이었다.
上龍頭里
58
71
124
揷橋邑
駕里
下龍頭里
40
56
65
龍洞里
기사(己巳)에왜가내포에침구(侵寇)하여병선(兵船)30여척을부수고여러주(州)의조
駕馬金里
10
38
46
속(租粟)을약탈하였다.
倉井里
52
99
103
倉井里
一里
73
96
156
二里
61
186
129
이상의 내용으로 내포에 관한 기록은 모두 공민왕 대의 기록이며, 전라도 조운선 및 왜구
大德山面
三里
92
230
265
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내포라는 지명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沐浴里
65
101
152
沐里
분명히 알 수 없으나, 이미 공민왕 대에 이르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지역은 전라도의
水村里
73
88
117
水村里
조운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역이라는 것을 추측해 볼 수 있다.
用里
98
175
133
用里
道用面
古德面
내포의 개념과 지역 범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자료로는 이중환(李重煥)의 『택
九萬里
137
319
326
九萬里
리지(擇里志)』가 주목된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중환에 의해서 저술된 『택리지』의 「팔도
[표 1]에서 보듯이 조선 후기(18세기 중엽)에 편호와 인구가
총론(八道總論)」(충청도조)에서는 내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인근의 다른 지역에 비해서 특별히 많은 곳은 장촌면 하촌리와
도용면 구만리이다. 장촌면 하촌리는 조선시대에는 덕산현에
충청도에서는내포(內浦)가가장좋다.공주에서서북쪽으로200리쯤에가야산(伽倻
山)이있다.서쪽은큰바다이고북쪽은경기의바닷가고을과큰못[大澤]하나를사이에
속해 있었으나 1914년 당시의 삽교면으로 편입된 곳이고, 명칭
도 하포리로 변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용면 구만리는 현
두고있으니,곧서해가쑥들어온곳[斗入處]이다.동쪽은큰들판[大野]이고들가운데에
재의 고덕면 구만리인데, 남연군묘 도굴 당시에 오페르트가 배
는또큰개[大浦]하나가있으니,이름이유궁진(由宮津)으로밀물이들어오지않으면배
를 정박했던 곳이고 20세기 초까지도 삽교천의 중요한 포구로
를이용할수없다.남쪽으로오서산에막혀있는데가야산으로부터온맥으로단지동남
서 역할을 했던 곳이다. 하포리와 구만리는 삽교천을 사이에 두
쪽으로공주와통한다.
고 서로 마주하고 있는 마을이다. 지명으로서의 ‘내포(內浦)’는 [그림2]구만포전경(1954년)
가야산의 앞뒤에 있는 10고을을 함께 내포(內浦)라 한다. 지세(地勢)가 한 모퉁이에
7.내포의뿌리,예산의비전
345
344
내포의뿌리예산학

34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