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3페이지

35페이지 본문시작

먼저 역과 원의 위치를 확인해 보았다. 조선 후기에도 홍주목의 옛길은 금정도에서 관
리하였다. 그렇지만금정도의중심역인금정역은그위치가달라졌다. 조선전기의청양
현 금정역은 현재의 지명으로 청양군 남양면 금정리에 있었고, 후기의 홍주목 금정역은
홍주목의 용곡역(현재 청양군 화성면 용당리 용곡)으로 옮겨진 금정역이다.
따라서 조
28)
선 후기 홍주목의 옛길은 금정역과 세천역(世川驛)이, 결성현의 옛길은 해문역(海門驛)이
각각 길을 맡아서 다루었다. 그 외에 홍주목의 옛길을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홍주목
주변의역을찾아보면예산현의일흥역(日興驛), 대흥현의광시역(光時驛), 보령현의청연
역(靑淵驛),덕산현의급천역(汲泉驛),해미현의몽웅역(夢熊驛)등이있었다.
조선후기에원(院)은다른지역과마찬가지로전기에비하여크게줄었다. 『여지도서』
를기준으로살펴보았을때, 『신증동국여지승람』에기록되었던홍주목의여양원(驪陽院),
인후원(仁厚院), 홍천원(弘天院)이 보이지 않고, 덕산현 봉용원(峯聳院), 예산현 무한성원
(無限城院), 대흥현 가방원(加方院), 해미현 신당원(神堂院)도 없어졌다. 다만 결성현의 광
천원(廣川院)과예산현의신례원(新禮院)이남아있을뿐이다.
조선후기의 교통로를 찾는데역과 원 못지않게더 중요한 것이점(店)이다. 전기에원
(院)의기능을대신하여점(店)이각지에많이세워졌기때문이다. 점은개인이세운주막
으로서17, 8세기부터정기시장과함께교통로의결절점이나연계지점을중심으로주막
촌형태로발전하였다. 다만점은『여지도서』에는기록되지않고1872년에만든「홍주지
도」,「결성현지도」,「덕산군지도」,「대흥군지도」등에서확인할수있다.
한편조선후기의교통로와관련된자료가운데무엇보다주목되는것이『여지도서』의
‘도로(道路)’ 항목이다. 조선 전기의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첫머리에 이웃한 고을까
지의거리와경도(京都,한양)까지의거리를기록하고이어서고을의유래를적은‘건치연
혁(建置沿革)’을서술하였는데, 『여지도서』는건치연혁조보다도로항목을앞에위치시킨
것이특징이다.이는어쩌면18세기중엽에도로를중시한시대적상황이반영된것은아
닌지 생각된다. 특히 읍치에서 사방 경계까지의 거리와 서울까지의 거리를 기록함은 물
론, 군·현에따라서는대로, 중로, 소로까지구분하여수록하고있다. 나아가서울뿐만아
28) 舊金井驛在縣南十里舊有郵官今移洪州龍谷(『여지도서』청양현),金井驛在州南四十里察訪一員蔭官六
品(『여지도서』홍주목)世川驛南距十里金井屬(『여지도서』홍주목)
34_역사를 품고 살아 숨 쉬는, 홍성의 옛길

3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