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8페이지

3페이지 본문시작

두루마기 박이두루마기 등을 갈아 입었으며 이 두루마기를 도량창옷
주막의
', '
주차의
라고도 부른다 옛날에는 선비들이 두루마기를 속에 입는 옷으로만
), '
사용하였고 겉옷으로는 입지 않았다
중치막을 입을 때에 밑받침 옷으로 창의를 입었고 창의만 입을때에는 두루마기를 밑받침
옷으로 입었다
따라서 사대부
는 두루마기나 창의를 입은 위에 중치막이나 도포를
.5¢
입고 외출했고 상민들은 창의나 두루마기를 웃옷으로 삼아 입었으며 중치막이나 도포는 입
을 수 없게 되어 있었다
두루마기의 각 부분별 명칭을 살펴보면 길 진동 수구 화장 무 겉섶 안섶 깃 동정
고대 도련 배래기 옆트기 고름 등으로 분류된다
까치 두루마기
오색
옷감으로 지은 두루마기인데 설날에 아이들의 설빔으로 입었다
두루마기는 주로 외출할 때에 입는 웃옷인데 옷자락이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며 무 섭
깃 등이 있다 색동저고리 까치 두루마기 꽃버선 그리고 여자 아이의 연봉치마 등은 명절
복식으로서 매우 호사스러운 옷맵씨를 지니고 있었으며 어린 아이들은 이 옷을 입기 위하여
명절을 기다리며 큰 기대속에 날짜를 다져 보면서 하루하루를 지냈다
중치막
D&
소매가 넓고 길이가 길며 앞은 두 자락 뒤는 한자락으로 되었는데 무가 없이 옆이 터진
네폭으로 된 웃옷이다 옛날에는 백두
가 입었다
백두
란 지체는 높으나 벼슬하지 않은 양반을 뜻하는 말인데
민머리 라고도 하였다
도포
통상예복으로 입던 겉옷인데 소매가 넓고 뒤솔기를 텄으며 그 위에 덧폭을 붙였다 깃이
곧아서 현대의두루마기의 깃과 같으며 동정이 있다 그리고 섶과 무가 있으며 뒤에 붙인 덧
폭 전삼
이 바람에 펄럭이는 멋을 지니고 있다 도포 차림에는 유건
이나 갓을
8x
썼다
심의
7$
학문과 도덕이 높은 선비가 입는 웃옷인데 흰 베로 만든다
소매가 넓게 하고 검은 비단으로 가를 둘렀으며 상
은 열 두 폭으로 되어 있다 심의를
입은 선비는 머리에 복건을 썼다
〔 〕
예복
3
전복
옛날 군복
의 한가지인데 짙은 색으로 짓고 소매가 없으며 뒷솔기가 텄고 구군복
에 겹쳐 입었던 옷이다 이 전복을 쾌자
라고도 하는데 조선 초기에는 임금과 신
하가 함께 착용하였다가 후세에 와서는 하급 군속
및 조례의 제복으로 만 착용하
게 되었으므로 전포
라고 불렀으며 갑오경장
이후에는 관원
의 보통 때
의 웃옷으로 착용하기도 했다 최근에 와서는 명절이나 돌날에 어린 아이에게 이 쾌자를 입
히고 머리에 복건을 씌우는 풍습이 유행하고 있다
여자의상
2.
우리 한국 여인네들이 입던 전통 의상은 평상복 외출복 예복 등 세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평상복은 일상생활에서 입는 의복이며 외출할 때에 평상복 위에 장옷이나 천의를 걸
쳐 입었으며 예식이나 특별한 경사가 있을 때에는 화려하고 장엄하게 꾸며진 예복을 입었
〔 〕
평상복
1
여인들이 입는 평상복은 치마와 저고리인데 우리 한국 여성의 치마 저고리는 아름다운
맵씨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삼회장 저고리의 멋과 어린 소녀들이 입는 색동 저고리의
화려함은 우리 복식 문화의 자랑거리이다 이에 그 아름다운 여성 의상의 구조를 고창하고

3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