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9페이지

297페이지 본문시작

(1)이광휴-이철환-이재위
택ㆍ배ㆍ수레ㆍ우마ㆍ농업ㆍ양잠ㆍ수공업ㆍ술ㆍ복식ㆍ무기와 관련된 다양한 사물의 명
이광휴는 숙부 성호에게 수학하면서 자연과학 특히 동식물
칭이 총망라되어 있어 가히 박물학 또는 백과사전이라 할만하다.
을 관찰 대상으로 깊이 연구하게 된다. 성호의 자연과학에 대
「물보서」에 따르면 『물보』를 편찬하게 된 근본적인 동기로 ‘공자의 말씀을 들어 조수와
한 관심은 이미 연행사들에 의해 중국에서 수용된 서양 문물과
초목의 이름을 알아야 함을 밝히고, 천지만물 중에서 사람이 가장 고귀하므로 만물의 품성
천주교로 인해 비롯되었는데, 그의 이러한 태도는 제자이자 장
이 인류의 과학적인 분석에 의하여 밝혀져야 그들의 일상생활이 이롭게 됨을 강조하였다.
조카인 이광휴를 동식물에 대한 학문적 천착으로 이끌었다. 그
또한 먹고 입는 것〔의식: 衣食〕이 민생에 가장 중요하며, 관혼상제의 예에 대한 명칭에 익숙
리고 그것은 다시 그의 아들 철환과 손자 재위로 이어져 『물보』
하지 않으면 이는 곧 헛된 예식의 조례만 남을 따름’이라고 하였다. 즉 『물보』가 가학인 예
(物譜)라는 책을 저술하는 계기가 되었다.
학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이철환은 당시의 사람들이 민생에 가장 중
『물보』는 이철환이 초고한 것을 1802년 아들 이재위가 체계
요한 물명에 너무 소홀함을 딱하게 여겨 보는 대로 적어 놓았고, 결국 아들 이제위가 그것을
화한 사물의 이름에 대한 어휘 자료집이다. 책 처음에 이재위가
분류ㆍ정리하여 『물보』로 엮은 것이다.
쓴 「물보서」(物譜序)가 있고, 그 다음에 어휘목록이 실려 있고,
(2)이용휴-이가환
맨 뒤에 제자 이기경이 쓴 「물보발」(物譜跋)이 있다. 「물보발」
에서 이기경은 ‘사물의 명칭〔물명: 物名〕이 비록 성리학과 직접
이용휴는 그의 나이 30대까지는 관직의 의지를 가지고, 1735년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성
관련은 없지만, 그것을 모르면 이치를 알 수 없기에 이것부터 공
균관에서 수학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40대 이후 그는 벼슬을 하지 않고 오로지 학문에 침잠
부를 해야 한다.’고 말한다. 즉 이철환의 학문에는 성리학과 물
하였다. 숙부 성호의 학문을 이어받은 그는 재야학자로서 당시 학계와 문단의 큰 별이었다.
명이 겸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철환은 성호에게 입문한 자손들
그는 문학ㆍ음운학ㆍ천문학ㆍ병학ㆍ농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박식하였는데, 특히 그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재능을 소유했던 것으로 평가된다. 경전과
의 문학은 일세의 으뜸이었다. 다산 정약용은 그를 가리켜 “그는 일찍부터 문학에 뜻을 두었
문학에 특출하였을 뿐 아니라 부친 이광휴의 뒤를 이어 실학의
으므로 문장이 기이하고 새롭고 공교로와 영조 말년 경에는 그의 문명(文名)이 일세의 으뜸
성격상 모든 사물을 실질적으로 파악하는
이었으며, 당시 문인들 중에서 새로운 방향으로 진출하려는 사람들은 모두 그에게 사사하였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비록 벌레나 잡초라
으므로 그는 한갓 선비에 불과했으나 문권(文權)을 잡은 지 30년이나 되었다.”고 평가했다.
고 하더라도 그냥 넘기지 않고 하나하나
뿐만 아니라 이용휴의 문학은 당시 사대부들의 고문(古文), 즉 당송의 고문에 그치는 것
일일이 연구ㆍ고찰했다.
이 아니고 성호의 경세치용(經世致用)의 학문을 바탕으로 한 실학파 문학이었다. 그리고 그
『물보』의 내용은 상ㆍ하 2편 8부 49류
의 문학은 아들 이가환과 외손 이승훈ㆍ이학달에게 계승되었다. 이들은 모두 당대의 준재로
로 분류되어 있으며, 물명 2,468항목(한
서 18세기 말 19세기 초 조선 지성을 대표하는 사람들이었다.
자물명 1,469항, 한글물명 999항)을 수록
이가환은 1771년(영조 47) 진사시에 급제하였고, 1777년(정조 1) 문과에 급제하여 1780
하고 있다. 그 항목명은 곡식ㆍ채소ㆍ과
년 비인현감이 되었으며, 1792년에는 대사간에까지 올랐다. 성호의 실학을 계승하는 한편
일ㆍ꽃ㆍ약초ㆍ잡초ㆍ잡목(雜木)ㆍ벌
특히 서학에 심취하였으며, 부친 이용휴의 문학적 재능도 이어받았다. 이가환은 정조가 가
레ㆍ물고기ㆍ새ㆍ인체ㆍ의복ㆍ음식ㆍ주
장 신뢰하던 채제공ㆍ정약용 등과 함께 남인 3대 핵심 인물이었다. 정조는 이가환을 채제공
이철환ㆍ이재위의『물보』
6.실학풍과여성문학
297
296
내포의뿌리예산학

297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