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9페이지

291페이지 본문시작

련형의 첨차, 반원형의 우미량, 배흘림이 강한 기둥, 쌍 S자 형태의 첨차 등
려 현재 흔적조차 찾을 수 없다. 다행히 조사 당시 그려놓은 모
화려한 장식성이 가미되어 독특한 모습을 연출하였다.
사도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전한다. 당시의 조사보고서를
기둥은 배흘림이 강한 원주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측면 중앙에만 예외적
참고해 보면 벽화는 창방(昌枋)과 고주(高柱) 주위의 벽면에 주
으로 사각기둥을, 내부에는 4개의 듬직한 고주(高柱)를 앞뒤로 2개씩 배열
락비천(飛天), 작은 부처들, 극락조(極樂鳥), 공양꽃(供養花)들
하였다. 정면에서 보면 기둥의 높이에 비해 간격이 넓어 안정감이 돋보인다.
이 그려져 있었다고 하며 흑색과 주색 등의 일부 채색도 남아 있
이러한 안정감은 종량 위 포대공 좌우에 ‘人’자 모양의 솟을합장을 설치한
었다고 한다.
구조에서도 확인된다. 보 상부에 걸친 우미량(牛眉樑)도 이 전각의 특징으
2)목조아미타삼불좌상과수미단및연화대좌
로 구조적인 측면과 장식성을 잘 표현하고 있다.
수덕사 대웅전은 배흘림기둥을 연결하는 경쾌한 인방(引枋), 고주(高柱)
와 평주(平柱)를 잇는 퇴보, 고주(高柱) 칸을 맞잡는 대들보 등의 직선재와
현재 대웅전에는 1639년에 조성된 석가, 아미타, 약사불의
이들을 지탱하는 다분히 장식적인 포대공(包臺工), 그리고 우미량의 조화가
목조삼세불이 주존불로서 봉안되어 있는데 이 불상은 20세기
특히 아름답다. 또한 같은 시대 봉정사 극락전과 부석사 무량수전 등의 주심
에 만공스님이 전라도 귀정사(歸程寺)에서 옮겨 온 것이다. 이
포식 전각, 서까래가 노출된 연등찬장, 연화두식, 배흘림 기둥 등에서 공통된
삼세불상에서는 불상 내부에서 복장유물이 발견되었고 이를 통
시대적 특징을 보여준다. 그러면서도 안정감과 구조적 측면에서 보다 진전
해 좀 더 자세한 내력도 밝혀졌다. 복장유물은 후령통과 다양한
된 형식임을 알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아름다운 외형이 주는 독특한 조형성
전적류, 액주름형 직령 등의 복식이 발견되었으며 묘법연화경
은 백제 이래 내려온 전통성과 합일된 고려시대 미의 기준을 알려준다.
과 불설관세음경 등 17세기 초반에 간행된 목판본이 다량 나왔
일반적으로 대웅전은 우리나라 건축의 기본을 잘 보여주는 건물로서 들
다. 그리고 복장발원문에 의하면 이 불상은 1639년(崇禎12) 만
보 이상에 해당하는 지붕[上分], 바닥 이상의 부분인 축부[中分], 초석 이하
행산(萬行山) 풍국사(豊國寺) 보광전(寶光殿)에 봉안하기 위
의 부분인 기단[下分]이라고 하는 세 개의
해 조성한 것이며 수연(守衍)비구가 중심이 되어 불상을 만든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기둥을
내용이 자세하게 적혀 있다. 이 불상은 현재 보물 1381호로 지
세우고 보를 걸고 도리를 올린 다음 서까
정되어 있다.
연화대좌
래를 배열하고 다시 그 위에 기와를 덮어
현재 불상의 하단부에는 목조대좌가 있고 중앙 석가불상에
완성한 소위 대량식 건물이다. 그 대표적
는 아름다운 연화좌와 수미좌가 놓여 있는데, 아마도 수덕사 대
인 건물이 수덕사 대웅전이다.
웅전의 창건과 관련되는 유물로 추정된다. 수미좌의 위에 놓여
수덕사 대웅전의 또 하나의 특징은
있는 연화대좌는 수미좌 보다 다소 작은 크기인 점에서 원래는
1937년 대웅전 보수 당시 불전의 벽에서
한 세트가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상단부의 연화좌는 활짝 핀 연
발견된 벽화이다. 당시에도 희미하게 남아
꽃잎에 아름다운 화문들이 장식되어 아름다운데 연꽃잎들을 따
있었는데 그 후 방치되어 흙더미로 변해버
로 만들어 못으로 고정한 기법이나 금으로 잎맥을 그리고 화문
수덕사대웅전
수덕사대웅전내부(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과수미단)
5.돋보이는문화유산
291
290
내포의뿌리예산학

291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