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44페이지

262페이지 본문시작

260?서산천수만의옛모습
하면서 주민들 중 굴 채취에 참여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참여해 굴을
채취하도록 하고, 그 수확량을 공동으로 수매해 판매한다. 그러나 10여 년 전부
터 굴 수확량이 줄어 1집에 1명씩만이 참여해 작업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간월
도에 거주하는 주민이라면 누구라도 어촌계원이 될 수 있었으나 노령화가 심해
져서 계원이 줄고 있다. 생존하지만 작업이 불가능하거나 어촌계원이 사망하면
그의자녀중한명이작업을대신하도록한다.
굴 채취 작업은 비나 눈이 오지 않으면 매일 시행한다. 물이 빠지기 시작하면
물을 따라 나간다. 물이 일찍 빠지면 7시에 나가고, 늦게 빠지면 12시에도 나간
다. 하루에 7~8시간 정도를 작업할 수 있지만 물때가 짧으면 4~5시간 정도만을
작업한다. 작업은 숙련도에 따라 채취량이 다른데, 초보자는 1일에 7㎏을 채취
하고, 능숙한 작업자는 10~15㎏ 정도를 채취한다.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채
취양이다르다.집안식구중작업할수있을정도만되면2~3명이함께나간다.
15세 정도만 되면 굴을 좃으러 나간다. 굴은 조새를 이용해 뚜껑을 따내고 긁
어 채집해 바구니에 담는다. 조새는 서산의 성냥간에 구입해 온다. 굴 채취 작
업은 음력 10월인 김장철부터 시작해서 이듬해 3월까지 지속한다. 3월이 지나
면굴알이빠지므로채취를중단한다.
어리굴젓을 담을 굴은 주로 겨울철에 채취하는데, 이때는 거적을 둘러쓴다.
짚으로 발을 엮어서 거적을 만드는데, 곱쳐서[반으로 접어서] 사용한다. 근래에는
비늘을 덧붙여서 거적을 보강한다. 거적을 만들 짚은 농사짓는 마을에서 얻어
오거나 사온다. 짚 지붕을 얹어야 했기에 짚은 해마다 사왔다. 그것을 이용해
거적을 만든다. 거적은 길게 만들어 곱치는데, 그 윗부분의 중앙에 끈을 매달
아 착용자의 양쪽에 겨드랑이에 끼워 가슴 위로 묶는다. 그런 후 거적을 등 뒤
로 한 후에 앉아서 작업을 하면 바람이 들어오지 않는다. 비나 눈이 오면 거적
을 머리 위로 올려 쓰는데 그러면 머리가 젖지 않는다. 예전에는 모든 사람들이

262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