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9페이지

25페이지 본문시작

비효율적이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이것은 예산학의 색다른 연구 방법
이것이 예산학의 기본 개념이다. 여기서 ‘예산인의 삶의 모든 영역’이라 함은 협의의 역
이 요청되는 대목이다. 그것은 예산학이 모든 학제적 연구에 문을 열어 놓되, 내적
사 문화 영역은 물론, 나아가서 정치 경제 사회 지리 산업 등 제 분야를 포괄하는 의미이며,
으로는 ‘예산의 예산다움’과 ‘예산인의 예산인다움’에 주목하여 이와 관련성이 높
그것은 지역학의 범주가 지역의 모든 것에 대한 학제적 · 융합적 학문의 세계임을 의미한다.
은 연구 주제들을 선정하고, 이와 관련된 학제적 연구를 단계적으로 시도하면서,
바꾸어 말한다면 예산학은 곧 예산의 역사 문화와 함께 예산과 예산인을 총체적으로 연구하
그 결과를 가지고 연구 토론하여 정선된 최종 결과를 예산학의 핵심 자원으로 집
는 지역학인 것이다.
적해 가자는 것이다. 물론 그것은 연구와 토론에 따라서 얼마든지 재조정이 가능
그러면 예산의 정체성은 어떻게 얻어낼 것인가? 그것은 예산의 역사 문화를 공통 기반으
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그것은 지역의 정체성이라는 것이 영구불변의 법칙적인
로 하면서, 그 토대 위에서 ‘예산다움’과 ‘예산인다움’을 찾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체득되
것이 아니라 사실은 상당 부분이 동시대인들의 문화인식의 동일성에 기초한다는
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의 ‘예산다움’과 ‘예산인다움’이란, 예산과 예산인의 특질을 말
이치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의 정체성 탐구는 부단히 계속되어야 할 지역학의 영
한 것으로 곧 예산의 정체성을 도출할 수 있게 하는 핵심적 양 측면이다. 즉 그것은 각각 예
원한 과제이며, 그것을 추출하고자 할 때의 지역학의 주된 연구 대상도 가변적일
산의 자연 환경적 요소(자연지리, 역사지리, 문화재, 문화권, 특산물 등)와 인문 사회적 요소
수밖에 없다고 할 것이다.
(인물, 학문, 학풍, 정서, 사회공동체, 지역 정신 등)가 이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예산학은 예산 발전과 예산인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한다.’라 하여 ‘발전과 향
2)예산학의개념
상’을 언급한 것은 지역학으로서의 예산학은 과거에 머물지 않고, 현재는 물론 미래 지향적
인 방향성을 가져야함을 의미한다. 대체적으로 역사와 문화는 과거에 비중을 두는 경향이
오늘날 지자체의 지역학은 우리나라 지방 연구의 한 분과로서 서서히 그 자리를 잡아가
강하다. 따라서 지역학이 ‘과거에 머물지 않는다.’라는 것은 예산학의 연구 범주가 지역의
고 있다. 그것은 특히 지방화ㆍ세계화라는 시대변화에 대한 대응논리로서의 시의성과 효율
역사 문화에만 머물지 않는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예산학은 오히려 그것을 넘어서서
성이 주목되면서 점차 더욱 힘을 받고 있다. 아직은 지역학에 대한 개념과 목적 및 접근 방
발전적인 현재와 미래를 추구하여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법론 등이 각양각색을 이루고 있지만, 지역의 정체성을 정립하여 지역발전을 도모하고, 나
그리고 여기서의 ‘지역발전’이라 함은 예산의 특질에 기초한 지역문화발전을 위주로 하
아가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한다는 방향성은 분명하고, 그 개념과 목적 및 연구 방법
되, 이와 관련된 사회발전과 산업발전을 포괄하는 의미를 지닌다. 예컨대 오늘날의 지역문
도 서서히 구체화되어지고 있는 것 같다. 지역학이 독립된 분과 학문으로서 서서히 자리를
화콘텐츠의 개발은 단순히 출중한 지역문화요소의 재확인의 차원을 넘어서서 곧바로 지역
잡아가고 있는 증좌인 것이다.
의 문화산업으로 이어질 수 있고, 그것이 곧 주민의 자긍심 향상과 복지로 직결될 수 있기
그러면 지역학으로서의 ‘예산학(禮山學)’이란 어떻게 정의될 수 있는 것인가?
때문이다. 그리고 ‘예산인의 삶의 질 향상’을 연구한다는 것은 지역학의 추구하는 바가 다만
지역발전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뜻을 말한 것이다. 그것은 또한 지역민의 삶의 질을 향상케
예산학이란예산의역사ㆍ문화와예산인의삶의모든영역에서‘예산다움’과‘예산인다움’을찾
하여 지역민의 행복한 삶으로 승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니, 이러한 예산학의 개념에는 이미
아내어예산의정체성을정립하고,이것을기반으로예산발전과예산인의삶의질향상을추구하
그 속에 예산학의 종국적인 목적이 함께 들어 있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는학문이다.
1.지역학
25
24
내포의뿌리예산학

2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