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8페이지

25페이지 본문시작

에는 여름철의 보리밥 보리죽 겨울철의 잡곡밥 잡곡죽 등으로 연명하는 집이 많았다
약밥
물에 불린 찹쌀 시루에 찐 뒤에 꿀 혹은 흑설탕 참기름 대추 진간장 밥 따위를 섞어
다시 시루에 넣어 쪄서 만든 음식을 약식이라고 하는데 주로 정월 대보름이나 혼인 환갑
등의 자치 때에 만들어 먹는다
〔 〕
2
곡식이나 곡식 가루를 시루에 앉혀 찌거나 삶거나 번철에 부쳐서 익히거나 빚어서 만든
음식을 모두 일컬어 떡이라고 하는데 흰떡 시루떡 송편 인절미 팥떡 콩떡 호박떡 무
떡 밀개떡 백편 흰무리 꿀편 절편 등 재료와 만드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과 모
양이 있으며 지방에 따라 특색이 있으나 우리나라의 떡은 주로 멥쌀을 사용하고 있다 경우
에 따라 찹싹이나 수수 조
기장등의 잡곡을 주원료로 한 떡도 있다
시루와 떡살
시루 시루는 떡이나
라을 찌는데 사용하는 둥근 질그릇인데 모양은 자배기처럼 생
겼고 운두가 좀 높고 바닥에
6
7
라고 하는데 켜마다 콩 대추 석이 호박고지 무채 꿀 곶감 등을 얹거나 섞어서 쪄내기도
하고 그밖에 백설기 콩시루떡 석이시루떡 갖은 시루떡 등 종류가 많다
시루떡을 찔때에는 먼저 시루 밑바닥에 짚으로 엮어 만든 시루방석을 깔아 시루구명을 막
은 다음 떡살이나 가루를 얹히어 솥 위에 얹는다 솥에는 적당한 분량의 물을 부어야 하며
솥과 시루가 맞닿은 부분에는 김이 새지 않도록 쌀가루나 밀가루를 반죽해서 시루번을 친
다 그리고 시루위에 뚜껑을 덮고 아궁에 불을 지펴 수증기의 열로 떡을 쪄 낸다 이
시루
떡을 증병
이라고도 하며 이것이 한국 떡의 전통적인 것이다
떡살
떡살을 우리나라 전래
민속기구의 하나인데 떡을 눌러 방형
또는
원형
등 여러 모양과 갖가지 무늬를 찍는데 쓰는 도구이다 흔히 나무로 만드는데 간
혹 사기나 생철로 만들기도 하며 마치 커다란 도장처럼 생겼다 우리 속담에 보기좋은떡이
먹기도 좋다 는 말처럼 떡에 무늬나 글자를 찍어 보기 좋은 모양의 떡을 기쁜 마음으로 먹
기 위한 것이다
떡의 종류
떡은 역사가 가장 깊은 한국 고유의 곡물 요리로서 시식
절식
제례
식 등에 결코 빠질 수 없는 식품이었고 이웃과 함께 나누어 먹는 정표이기도 했다 떡을
조리법 중시
찌는 떡 시루에 쪄서 완성하
콩시루떡 무시루떡 잡과병 팥고물시루떡 물호박떡
각색편 두텁떡 녹두찰
치는 떡 찐다음 다시 완성함
개피떡 쑥인절미 깨인절미 석이단자 밤단자 쑥단
자 각색단자 골무떡 꽃절편 등
지지는 떡 기름에지져서 완성함
황장미전 국화꽃전 맨드라미꽃전 섭산삼병 주악
부꾸미등
삶는 떡 끓는 물에 삶아 건져 고물을 묻힘
각색 경단 오메기떡 두텁단자 등
특별한 떡의 제조법
이상 열거한 떡 가운데에서 몇 가지만 설명하자면 다음과같다
주악
대추 꿀 계피 또는 깨 꿀 계피로 소를 만들고 송편처럼 빚어 기름에 뛰겨낸
후 꿀과 계피가루를 섞은 집청꿀에 재웠다가 담아낸다
잡과병
멥쌀가루에 밤 곶감 대추 등의 과일을 섞어 찐 떡이다
섭산삼병
예저
에는 떡으로 먹었으나 요즘에는 다과상이나 주안상에 쓰이는데 더덕
을 자근자근 펴서 소금에 살짝 절였다가 찹쌀가루를 묻혀 기름에 튀긴 다음 설탕을 뿌리거
나 꿀물에 담가 놓는다
맨드라미꽃전
참쌀가루를 익반죽하여 지지고 그 위에 맨드라미꽃과 쑥갓으로 장식한

2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