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8페이지

23페이지 본문시작

크고 둥근 소반이다 서너 식구가 둘러 앉아 함께 식사할 수 있는 소반으로 흔히 두리반
또는 두레상 이라고 부른다
외상
반면이 반달모양으로 되어 있는 소반인데 한 삶 몫의 음식을 차릴 때에 쓰인다
장 독 대
2.
우리 민족은 발효식품에 대한 식생활 응용력과 애착이 많은 민족이었다 김치 고추장 된
장 간장 등 우리 민족의 고유의 부식은 모두 발효 식품이었다
우리 선인들이 살던 한옥
의특징은 집안 중앙 후원의 통풍이 잘 되고 햇빛이 잘 드

는 위치에다 지면보다 높게 괴임돌을 놓아 만든 장독대가 있다 장독대는 정갈하고 여성의
정성
이 어린 곳이기도 하며 그 모양새나 규모는 그 집안의 가세
나 가풍
을 나
타내는 척도이기도 했다
양지바른 곳의 장독대에 놓인 간장독 된장 항아리 고추장독 김치 단지등은 한국인의 식
생활을 상징하는 물건들이었다 옛날 우리 어머니들은 메주를 띄워 간장을 담을 때에 길일
을 택하여 몸을 단정히 하고 장독대를 정결하게 청소하여 정성을 다했다 간장을 담
근 뒤에는 숯이나 붉은 고추를 끼운 금줄로 장독을 감거나 창호지로 버선을 오려 거꾸로 붙
여 바깥에서 궂은 일을 보고 온 사람은 장독대 출입을 금했다
그러나 이러한 장독대의 발효 식품 문화와 그 정서읏러운 주부들의 모습은 산업화 과정에
서 점점 퇴색하게 되었고 아파트 문화 속에서 오나전히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장독대의 규모와 장독의 크기 및 수효로써 그 집의 식구 수효와 생활 수준을 짐작할 수
있었는데 장독대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그릇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 〕
대독
1
무척 크게 만든 독인데 다릿골독 이라고도 부르며 독의 배가 블록하게 생겼다 이 대독에다
간장이나 고추장을 담그기도 하며 또는 식수
를 저장하는 물독으로 사용하였으며 겨
울에 먹을 김장을 담는 김장독으로도 사용하였다
〔 〕
항아리
2
아래 위가 좁고 배가 불룩 나온 질그릇의 일종인데 식구가 많지 않은 집의 장독이나 김장
독으로 사용하였다
〔 〕
소래기
3
운두가 약간 높고 접시 모양으로 생긴 옹기인데 독이나 항아리의 뚜껑으로 쓰이기도 하
고 그대로 물건을 담아 두는 그릇으로도 쓰인다
양지바른 곳에 정갈한 모습으로 소중하게 놓여진 장독대는 그 집의 음식맛을 가늠하는 중
심부였고 귀엽게 자라나는 어린 아이들이 모여들어 소꿉놀이도 하고 숨바꼭질을 하던 놀이
터로서의 구실도 하던 친근감을 지니고 있었다
음식물
3.
우리의 전통적인 음식물은 밥 떡 국 술 차 등이며 기호품으로는 담배가 있다 우리 국
토는 온대 지방에 위치하여 사계절이 분명하고 토지가 비옥하며 강우량이 적당하므로 아득
한 옛날부터 농경 사회를 형성하였고 오곡이 음식물의 재료가 되어 밥의 문화와 떡의 문화
를 이어온 채식 중심의 민족이었다
〔 〕
1
우리 만족은 쌀밥을 주식으로 하며 벼 농사를 지어 왔는데 그 시초는 초기 철기시대에 해
당하는 삼한 시대부터라고한다 그런데 최근에
년대의 볍씨가 토탄충에서 출토되었
B.C2400
으니 우리나라 벼 농사는 신석기 시대부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쌀은 귀한 곡식이며 그 재배 기술이 원시적이어서 가난한 백성은 먹기 어려운 음
식이었다 아득한 옛날 북쪽 지방에서는 임금님이나 쌀밥을 먹을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
다고 하며 평민들은 가장 소중하고 귀한 경사가 있을 때나 한 번 먹어보는 쌀밥이었다
이렇게 귀한 쌀이건만 조상 숭배의 유교 정신이 투철했던 우리 선인들은 아무리 가난하더

23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