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9페이지

211페이지 본문시작

부분의 사건을 불사와 성불에 집중한다. 이에 비해 후자는 흥미 진작을 위해 용궁 세계나 재
로 삼아 백제 부흥 운동을 펼치자 동참하는 이들이 몰려와 3만 명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흑
생, 변신과 같은 다양한 소재를 택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은 아버지 심학규의 삶이 보
치상지는 군사들을 이끌고 당나라 군사가 점유하고 있던 200여 성을 탈환하였다. 그야말로
다 상세하게 그려지고 있다. 이 외에 설화나 설화
연전연승을 거두며 백제의 복원을 전개해 나갔다.
와 같은 작품의 소재를 작품 속에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그의 백제 부흥 운동은 여기에서 그치고 만다. 단락 ④에서 보듯이 그는 당나라 군
사의 역공에 굴복하고 만다. 사적에 따르면 663년 9월 당나라 장수 유인궤의 군사가 주류성
을 함락한다. 그리고는 임존성을 압박하게 되는데, 이때 흑치상지는 유인궤에게 항복한다.
3.흑치상지와대흥산성(임존성)
또 항복에 그치지 않고 당나라 군사의 선봉에 서서 임존성을 지키고 있는 지수신과 백제부
흥군을 격퇴한다. 백제 부흥을 위해 목숨을 걸고 동고동락하던 수장이 반대편에 서서 한때
먼저 전설의 서사 전개 과정을 아래에 제시한다.
부하였던 옛 동료들의 수급을 취하였던 것이다. 이 일로 인해 그는 백제의 백성들에게 백제
부흥 운동을 몰락시킨 반역자로 낙인찍혔다.
①봉수산은옛대흥군의진산으로봉황의머리처럼생겼다고한다.
그런데 이 전설에서 백제부흥군은 왜 대흥산성을 백제 부흥의 거점으로 삼았을까? 이 점
②백제 멸망 후 백제부흥군이 웅거하였다. 흑치상지를 비롯해 지수신 등의 장군이
은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한다. 우선 대흥은 유서 깊은 고장이다. 이곳 봉수산 산중에는 석
머물며백제부흥운동을전개하였다.
곽묘가 수없이 많이 분포한다. 해방 이후 혼란기에 이곳 봉수산은 도굴꾼들의 낙원이었다.
③한때사비성까지육박하는등의활동을펼쳤다.
그리고 이 도굴판에 주민들도 적지 않게 가담하였다. 그리하여 각종 도기를 비롯해 요대나
④흑치상지의배신으로백제부흥이좌절되었다.
갑옷 등의 유물이 도굴되어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물론 여기에서 도굴은 논제의 중심이 아
⑤봉수산에 성터가 남아있는데 사람들이 이를 임존성 또는 대흥산성이라고 한다(『山
니다. 요컨대 무수한 석곽묘가, 그것도 우월한 지위를 누리던 인물들의 무덤이 봉수산 일대
바위나무傳說集』,418·419쪽).
에 펼쳐져 있었다고 하는 것은 과거 이 고장이 예산의 중심지였다고 하는 반증이다.
백제부흥군이 예산을 거점으로 삼은 또 다른 이유는 군사의 충원과 군량의 보급 문제이
이 전설은 그 내용이 극단적으로 축약되어 있다. 오랜 세월 동안 구전되면서 여러 역사적
다. 예산을 비롯한 내포 지역은 예로부터 사람들이 의롭고 용맹하다. 태평 시에는 온순하고
사건들이 탈락되고 뼈대만 남았다. 먼저 서사단락 ①은 봉수산의 이름 짓기에 대한 것이다.
자신을 잘 내세우지 않지만, 불의나 폭압 앞에서는 단호하게 저항하고 봉기한다. 비근한 예
지명은 다양한 시각이나 관점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여기에서의 지명은 풍수설의 형상론에
로 일제강점기 의병이나 독립 활동에 가담한 인물들만 살펴보아도 쉽게 알 수 있다. 매헌 윤
근거한다. 곧 산의 모양이 ‘봉황의 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봉황 봉(鳳)자와 머리 수(首)자를
봉길 선생을 비롯하여 수당 이남규 선생, 면암 최익현 선생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독립운
조합해 봉수산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동가가 이 고장에서 배출되었다. 요컨대 꺼져가는 백제의 명운을 되살리기 위해 군사를 모
단락 ②와 ③은 흑치상지(黑齒常之), 지수신(遲受信)이 이끄는 백제부흥군이 봉수산의
집해야 했었던 바, 그 중심지를 의로운 고장인 대흥으로 택한 것이다. 여기에 드넓은 예당평
대흥산성에 머물며 백제 부흥 운동을 전개하였다는 내용이다.
야를 배후에 둠으로써 군량의 원활한 조달을 꾀하려 하였음도 알 수 있다. 이 외에 봉수산의
기록에 따르면 흑치상지는 660년 백제 멸망 때에 무리와 더불어 나당연합군에 항복하였
지리적 입지나 교통도 고려하였을 법하다.
다. 그런데 그 뒤 당나라 군사들의 약탈이 심해지면서 족장 10여 명과 부흥군을 조직하여 임
종합하면 이 전설은 흑지상치에 방점이 있다기보다 대흥의 대흥산성이 백제 부흥 운동의
존성(任存城: 지금의 충청남도 대흥, 대흥산성)에 들어왔다. 이처럼 그가 임존성을 거점으
거점이라고 하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부흥군은 비록 백제의 부흥 내지 복원에 실패하였지
4.공동체사회와민풍
211
210
내포의뿌리예산학

211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