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6페이지

21페이지 본문시작

예산학의 가능성과 기대 ? 과제와 방향 ? ! 21
운영이다[이해준 외, 2003,『평생교육 단계에서의 인문교육 현황 진단
및 정책 대안』인문사회연구회, 2003]. 주민의 지역사랑 및 정주의식을
제공할수있는지역학관련인문교육프로그램은최근많은지방자치단
체가지원하고있는시민문화대학이라는명칭으로제공될수있다. 그리
고지역학은인문교육과지역성강화에 직결되는화두이기도하다. 최근
강조되고있는문화자본, 사회적자본의측면에서도지역학연구와지역
교육의중요성은점차증대된다. 이는일부학자들이나대학에서의관심
영역이아니라지역의주민들이자신들의삶의터전인고향에대한지식
과정보를스스로에게내면화하는 과정으로, 지역학은예를들면지역의
지리, 생태, 자원, 환경, 역사, 문화, 정치, 사회, 경제, 예술 등등이 결코
분리될 수 없는 종합 인문교양교육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지역별사회경제적 특성과문화환경은각기상이하고차별성이크다.
특히 지역문화 자료는 어느 한 분야 연구자의 특수한 자료로 설명될 수
있는성격이아니다. 연구지표가되는데이터들은다양한분야와문제의
식별로 다를 수 있고, 그런 까닭으로 여러 분야 종사자들이 합심하여
찾아야만종합적해석이가능해진다. 또이를추진하는과정에서반드시
고려, 준비할 일은 지역별 특성을 철저하게 반영한 커리큐럼(프로그램)
개발, 지역학교재의발간(계층별교재), 지역학강사의확보, 학습동아리
의 양성 등등이다. 이는 문화연구자와 교육전문가, 지역사회 행정가 등
관련 주체들이 연합하여 추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
학, 향토사, 지역유적 답사, 지역문화 정신의 이해 등 지역별로 특화된
강좌를지역문화연구자와인문학연구자, 그리고지역내교육현장전문
가와 지자체 담당자 등이 공동토의를 통해 개발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하여, 인문학연구자는관련연구를, 교육전문가는연구결과를외화
시킬수있는강좌를, 예술가는지역민의창작과문화향수를연계발전시
켜 상호 시너지 효과를 낳을 수 있다면, 최상의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1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