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28페이지

194페이지 본문시작

1970년경,독산마을에는방첩대도근무하였다.

남,
1970년경, 독산마을은 간첩들이 들어오는 통로라고 하여, 방첩대도 배치되었다. 주민

들과함께생활하며임무를수행하였다.일반군인들과달리민간복장을하기도하였다.





1969년간첩선이원두막에총을난사하는사건이있었다.


황광현 님이 군대에 입대하던 1969년, 간첩선이 독산해안에 들어와, 해안에 만든 원두

5
막에총을난사하는사건이있었다.당시원두막에불을켜놓아사격을당했고,주민들이
피해를입지는않았다.
독산마을에는샘이4개있었다.
194
옛날독산마을에는샘이4개가있었다.모두수위가낮아노깡을몇개묻었고,물은두
레박으로떠먹었다.제일큰샘은404-4번지에있었는데당제지낼때목욕하는샘이었고,
부근에당기도세워놓았었다.현재는모두메워졌다.
옛날에는배를손으로들어올려뭍으로올렸다.
독산마을의작은배들은무창포남쪽,동뒤라는곳에정박하였다.이곳은방파제가없
기 때문에 바람이 불면 여럿이 들어 뭍에다 옮겨 놓았다. 작은 배였기 때문에 가능하였고
무척힘든일이었다.
동뒤마을에는경상도사람이와서살았다.
독산마을이나 무창포에 어업기술을 전해준 사람이 경상도 사람들이다. 이들은 경상도
통영에서올라와고기를잡았으며일부는무창포나동뒤에서살았다.삼각망등,새로운
기술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많은 고기를 잡아 부자로 살았다. 현재도 후손들이 무창포
에거주하고있다.
독산마을에는문둥병환자가있었다.
독산 마을에는 문둥병환자가 있었다. 여자 분이었는데, 독산에서 태어난 분이고 현재

194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