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3페이지

20페이지 본문시작

라.점(店)과길
조선시대에 있었던 홍성지역의 옛길을 찾아보는 과정에서 세 번째 살펴볼 것은 점(店)
이다.점은일반적으로주막촌을의미하는것으로17,8세기부터정기시장과함께교통로
의 결절점이나 연계 지점에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서민들이 교통로를 따라 집을
지을 수 있었던 것은 관영여관의 성격을 띤 원이 없어진 후에 복구되지 못하고 방치되었
던 자리를 민영 주막들이 모여 하나의 취락을 이루고 동시에 취락 내부에 장터를 수용함
으로써성립되었을것으로알려지고있다. 나아가조선시대지배층이었던양반들이풍수
지리를따라배산임수의지형에집을지었거나도로에서멀리떨어진아늑한공간에취락
터를 잡는 경향이 많았던 것 또한 교통로의 결절점이나 연계 지점에 점이 발달하는데 중
요한영향을미쳤을것으로이해된다.
22)
이와함께이시기에는화폐경제의발달로인하여여행자는곡식이나포목대신돈으로
여비를 지불할 수 있어 훨씬 편리해졌다. 한편 민영 숙박업소도 주막이라는 일반 여관과
다르게 보행객주(步行客主)라 일컫는 고급여관이 있었다. 주막이 대개 한 두 개의 침실과
술청으로 이루어진 작은 건물이었다면, 보행객주는 여러 개의 침실, 대청, 마구간, 목욕
집,정자등이있는큰집이었다.주막에서는여러사람들이합숙을하였으나,보행객주에
서는 독방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고관과 부호들이 많이 머물렀다. 이와 같은 일련의 결과
는 18세기~19세기 말에 이르는 기간 중에 주막촌이 중심가로를 따라 배열된 가촌(街村)
형태를이루는정도까지발달하였다.더불어이시기는주막촌의인구가증가하여취락의
규모가수십내지수백호에달하고상업기능도강화된시기이기도하다.
23)
한편 주막촌은 관권의 개입 없이 주민 자신들이 설립한 취락이어서 문제점도 많았다.
첫째, 주막촌은 원 터를 비롯한 접도구역의 국유지에 설립된 경우가 많았으므로 국가와
주민간에토지사용에관한규정을설정할필요가있었다.둘째,건물이밀집하여지붕과
지붕이거의맞닿아있었으며대부분의가옥들이화재의위험이큰초가였으므로방화의
22)최영준,앞의책,308쪽
23)최영준,앞의책,314쪽
조선시대의 길_19

20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